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정선규 시인의 작품읽기

정선규 시인
밑바닥 정신
작성자: 정선규 추천: 0건 조회: 8723 등록일: 2013-06-30

1985년 남영동의 정신

海月정선규

 

20111230일 유명을 달리한 정치이다. 파킨슨병으로 돌아가셨다. 26년 전 당한 모진 고문의 후유증으로 끝내 다시 일어서서 못한 채 쓰러지고 말았다. 1983년 학생운동 출신들과 함께 민주화운동 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하여 초대의장을 맡아 민주화운동을 확산시켜 나갔다. 전두환은 19852월 거센 저항을 보고 척결을 지시했다. 골치 아픈 재야를 싹쓸이할 민청련과 학생들을 하나로 묶어 뿌리 뽑자는 방안이 나왔다. 바로 이것이 민청학련 사건이다. 그 결과 김근태와 관련자 26명을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하는가 하면 17명을 추가 수배하게 된다. 2년간 민청련 의장으로 있으면서 7번째 구류 중이든 김근태는 석방일이든 198594일 새벽 서부 경찰서 유치장에서 석방되는 대신 남영동의 악명 높은 치안본부 대공분실로 끌려갔다. 925일까지 23일간 불법 구금상태에서 고문당했다. 김 근태 전 의원은 이 시간을 짐승의 시간이라 불렀다.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피는 바짝 마르고 뼈는 타들어 가는 길고도 먼 여정이었던지 그것을 알기라도 하는 것처럼 차라리 죽여 달라고 호소했지만, 그들은 그에게 죽음 원하지 않았다. 그들이 시키는 대로 없는 죄를 만들어 내놓고 그렇다고 내가 그런 사람이라고. 내가, 바로 그 사람이라고. 원하는 그들이 짜놓은 각본에 의해 움직여주기를 원했다. 오직 자신의 의지와 행적과는 무관하게 그저 짐승처럼 시키는 대로 완전히 두 발 두 손을 다 들고 항복하고 시인하고 나오라고 요구했다. 925일부터 무려 장장 23일간의 불법 구금 상태에서 모진 고문을 당했다. 남영동에서 7차례에 걸쳐 고문을 당했다. 그야말로 죽음보다 다 혹독한 고문이었다. 죽고 싶어도 죽을 수도 없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가운데 마치 한 마리의 짐승 다루듯이 알몸으로 바닥을 기며 살려달라고 애원하며 빌라고 물 묻은 몸을 전기로 지졌다. 뇌수까지 정말 찢어지는 고통이었다. 그는 결국 그들에게 모든 것을 내주었다. 그것이 바로 국가보안법위반혐의를 엮어 간첩으로 몰아가는 것이었다. 삼천포에서 배를 타고 월북했으며 간첩으로 남파된 형들과 자주 만났다는 황당하면서도 아이러니한 사실을 시인해야만 했다. 그는 외쳤다. 무릎을 꿇고 살기보다 서서 죽기 위한다. 당시 국가안전기획부 대공수사국 국장은 정형근 전 한나라당 의원 정형근의 지시로 김근태 전 고문을 고문한 이근안(75)은 자신의 전력에 대해 나는 고문 기술자가 아니라 고문예술가로 내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그렇게 했을 것이며 애국이었고 그건 일종의 예술이었다라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털어놓기도 했다. 당신 고문은 일제강점기 끔찍한 한민족 통치기술의 하나이던 고문기술을 승계 발전시킨 것으로 관절 빼기, 볼펜 꽂기, 통닭구이, 물고문, 전기고문, 외 인간이 떠올릴 수 있는 온갖 잔학한 행위였다고 한다. 참 기가 막히고 또 기가 막혀 숨구멍이 다 막힌다. 고문을 하나의 예술이라 했다니 정말 미치지는 않고 할 수 없는 말이다. 하기야 그렇게 미쳤었기에 물고문과 전기고문에 매달려 수많은 사람들을 간첩 빨갱이를 제조하는 공정이었겠지.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게 사람이라지만 도대체 그 사람의 머릿속에는 무엇이 들었기에 그토록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생명을 앗아갔을까? 어떻게 생각하면 이근안은 절대로 태어나서는 안 될 사람이었으며 아직도 그 회개의 기회조차도 얻지 못한 채 모 교단에서 목사안수를 받아놓았다니 정말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세상은 미치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세상이며 미치지 않아도 미쳐버리고 마는 아주 이상야릇한 기운이 감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된다. 고 김근태 의원의 시신이 다 새까맣게 탄 것처럼 보였다는 말을 들었다. 사실 그동안에 살아 있었어도 살아 있지도 못하고 고문의 흔적과 싸워야만 했던 그의 길이었다. 얼마나 힘들었을까? 권력의 앞에서는 인간의 명세표가 얼마나 되었을까? 죽여 달라면서도 스스로 죽을 수 없는 인간의 고통 그 밑바닥 정신은 어떠했을까? 밖에서는 꽃이 피고 새가 우는데 물고문에 전기고문을 당하면서 그들 앞에 절대 굴복하지 않으려 이를 악물고 참았을 것이며 때로는 그만, 그만, 소리도 치고 너무 견딜 수 없어 목이 부어 제대로 말소리도 나오지 않는데 그러면 약을 먹이면서까지도 멈추지 않고 때리고 살고 보자, 살아서 때를 기다리자, 먼 훗날을 도모하자, 살아야 한다는 야망과 죽어도 그들에게 앉아서 죽지도 못하고 서서 죽일지언정 민주화를 내어줄 수는 없다.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내가 끝까지 참고 견디어야 한다.

그야말로 깊은 질곡에서 자신과의 싸움에서 고문보다 더 싶은 갈망과 갈증을 느끼면서 차라리 죽고 싶다는 마음이 강했으리라. 그는 끝내 내일이면 나올 수 있었음에도 얼마나 고문에 지치고 고달팠던지 항복을 했지만, 그것은 진정 또 다른 싸움의 시작이었다. 경찰도 비밀리에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법원도 비밀리에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하지만 그는 조금도 흔들리지 않고 법정에서 고문을 폭로했다. 그러나 재판부에서는 고문의 흔적이 없다 하여 그의 말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죽으면 죽으리라, 자신의 육체는 죽일 수 있을지라도 그의 정신마저 그들은 어떻게 하지 못했다. 그 결과, 고문에 참여했던 모든 고문 경찰관은 그 죗값을 치러야만 했고 이근안 경감은 숨을 죽이고 1010개월 동안을 숨어지내고 있다가 끝내 자수하여 7년의 죗값을 치르고 나왔다. 이제 정지영 감독의 남영동 1985년의 영화로 만들어졌다. 1985년 남영동 치안본부 515515호 실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는 갔지만, 정신적 싸움에서는 아주 큰 승리를 얻었다. 대한민국 민주화의 거대한 촛불로서의 굵고 짧은 생으로 아직 우리의 역사와 마음과 기억 속에서 더 심하게 타오르며 살아 있다. 정말 무서운 것이 사람이라 했다. 사람은 가죽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가죽을 입고 있는 정신이 무서운 것이다. 그런데 역시 그랬다. 고문기술자 이근안은 모 교단에서 목사안수를 받고 어엿하게 목사가 된 것이다. 이근안 그는 예수를 팔아먹고 회개의 기회조차 얻지 못한 유다와 자가 되었다.

말하자면 정말 세상에서 가장 불쌍하고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운명을 갖고 살아가야 하며 더 나가서는 역사 앞에 씻을 수 없는 그 악명 높은 1985년 남영동이라는 괴물로 남을 것이다. 한 시대를 같이 태어나 살면서 한 사람은 민주화의 열사로 또 한 사람은 고문기술자로 마치 양과 염소처럼 썩을 수 없는 기름처럼 갈라진 운명이다. 도대체 어쩌다가 고문을 예술이며 애국이라고 그토록 집착했을까? 한 시대의 희생양이라고 할까? 아니면 그냥 자신의 하는 일이 무슨 일인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아무것도 모르는 1985년의 철부지 아저씨라고 할까? 그의 정신은 무엇일까? 애국에 대한 집착일까? 충성에 대한 연민이었을까? 시대적인 착오였을까? 칠성판에 손과 발이 묶여 흐르는 전류에 피가 마르고 입술이 타고 목이 마르는 고통에서 흘러나오는 그칠 수 없어 목이 다 부어 말도 못할 정도가 되도록 해놓고 약까지 써 가면서 또한 비명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라디오를 크게 틀어놓고 아주 자연스럽고도 태연하게 웃고 떠들면서 눈빛 하나 변하지 않은 채 정상인으로 아니 1985년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얼마나 잘 먹고 잘 살았던가? 아무리 생각을 해보아도 이해가 안 간다. 어떻게 인간이 그토록 잔인하고도 피도 눈물도 없이 사람이 죽지 않을 만큼 적당한 전류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사람의 경지에까지 올라갔을까? 누가 그를 그렇게 만들었을까? 시대를 잘못 타고난 것일까? 사람이 한번 잘 쓰이면 끝까지 귀하게 소중한 보배처럼 빛을 발하는데 말이다. 그래서 사람은 다 사람의 나름인가 보다. 선과 악이 영존하는 세상에서 정말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정신이다. 김근태 전 의원의 정신은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아무리 미쳐도 밑바닥까지 미쳐서는 안 된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는 치열한 정신적인 싸움을 하며 한 시대를 살고 있다. 정신을 바짝 차리는 것이 아니라 지켜야 한다. 내 가정과 가족을 위해 더 나아가서는 이 민족과 사회의 정신을 지켜내야만 한다.

댓글 : 0
이전글 나이테
다음글 삭제된 게시물입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1707 선지자 정선규 0 227 2025-03-20
1706 석양 아래 정선규 0 256 2025-03-20
1705 아늑하고 아득하다 정선규 0 462 2025-03-18
1704 그 즈음 정선규 0 586 2025-03-18
1703 인생, 그것 정선규 0 777 2025-03-14
1702 어느 밤 정선규 0 612 2025-03-13
1701 검서의 힘 정선규 0 625 2025-03-13
1700 채굴 정선규 0 640 2025-03-13
1699 산아 놀자 정선규 0 805 2025-03-12
1698 꿈 놀이 정선규 0 775 2025-03-12
1697 한눈팔기 정선규 0 750 2025-03-11
1696 통증의 반석 정선규 0 709 2025-03-11
1695 상념의 길을 가다 정선규 0 731 2025-03-10
1694 바람에 대하여 정선규 0 769 2025-03-10
1693 멀리 향 정선규 0 929 2025-03-09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