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정선규 시인
의 작품읽기
정선규 시인
하늘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작성자:
정선규
추천:
0건
조회:
4021
등록일:
2022-06-23
하늘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비가 내리고 있다. 온대지를 적시고 흘러간다.
하늘에서 후다닥 떨어지는 비는 땅에 딩굴어 온몸으로 대지를 적신다.
그리고 다시 몸을 곧추세우고 길을 떠난다. 바다를 포기하지 않고 강으로 흐른다.
때로는 비가 오는 둥 마는 둥해서 농담을 했다. "하늘도 비가 아까운가보네.
그래서 내릴까. 말까. 직무유기하고 있는 거야" 하지만 하늘은 일을 쉬지 않았다.
적당한 때를 따라서 이는 비와 늦은 비를 내려왔다.
만약, 하늘이 바다를 포기했다면 선순환은 없었다.
비는 바다를 이루고 있다가 하늘로 향한다. 물은 증발하기 때문이다.
마치 성장과 분배처럼 선순환의 구조를 생각하게 한다.
강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하늘이 있기 때문이다.
하늘은 비를 가졌기 때문이다. 생명은 하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a name="top" style="color: rgb(85, 119, 255); font-family: 굴림; text-align: -webkit-center;"><table width="947"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width="825" valign="top"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8px;"><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8px;"><table width="1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tbody><tr><td colspan="4"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8px; padding: 10px 0px;"><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9px; padding: 5px 15px;"><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하늘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br></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비가 내리고 있다. 온대지를 적시고 흘러간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하늘에서 후다닥 떨어지는 비는 땅에 딩굴어 온몸으로 대지를 적신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그리고 다시 몸을 곧추세우고 길을 떠난다. 바다를 포기하지 않고 강으로 흐른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때로는 비가 오는 둥 마는 둥해서 농담을 했다. "하늘도 비가 아까운가보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그래서 내릴까. 말까. 직무유기하고 있는 거야" 하지만 하늘은 일을 쉬지 않았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적당한 때를 따라서 이는 비와 늦은 비를 내려왔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만약, 하늘이 바다를 포기했다면 선순환은 없었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비는 바다를 이루고 있다가 하늘로 향한다. 물은 증발하기 때문이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마치 성장과 분배처럼 선순환의 구조를 생각하게 한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강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왜냐하면, 하늘이 있기 때문이다. </div><div id="ct" align="justify" style="font-size: 14px;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_upload="" 1312252388-92.jpg");="" background-repeat:="" repeat-y;="" background-position-x:="" 100%;"="">하늘은 비를 가졌기 때문이다. 생명은 하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a>
댓글 :
0
건
이전글
나무에서
다음글
촛불
번호
전체분류
프로필
시
수필
시.시조
소설
평론
메모.비망록
자유글마당
시조
동시
동화
희곡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1002
시
허물벗기
정선규
0
8794
2014-10-15
1001
시
가을 저녁 일기
정선규
0
8923
2014-10-15
1000
시
새벽
정선규
0
8495
2014-10-15
999
시
감격의 통로
정선규
0
8307
2014-10-07
998
시
산울림
정선규
0
8636
2014-10-05
997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9
정선규
0
8592
2014-10-05
996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8
정선규
0
8394
2014-09-30
995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7
정선규
0
9090
2014-09-28
994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6
정선규
0
8862
2014-09-26
993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5
정선규
0
8727
2014-09-16
992
수필
역사의 산 줄기
정선규
0
9497
2014-09-06
991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4
정선규
0
8785
2014-09-06
990
수필
어머니의 언덕
정선규
0
8859
2014-09-02
989
자유글마당
신의 문학, 구원의 문법 63
정선규
0
8800
2014-09-02
988
자유글마당
신의문학, 구원의 문법 62
정선규
0
9233
2014-08-12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