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수 사용법
날씨가 매섭게
추웠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둘이 오붓한 시간을 갖고 싶어 대전에서 유명한 신도 분식에 들렀다.
아주머니가 따뜻한 물 한 컵을 내려놓자
이 친구 자리를 뜬다.
어디 갔는지
10분이 지나서야 안으로
들어섰다.
“날도 추운데 10분씩이나 어디 갔다 온
거야.”
“온수 빼고
왔어.”
“온수 무슨
온수?
너 집에 갔다
왔느냐?”
“아니 내 배에서
온수 좀 빼고 왔다니까.”
“내 아궁이에 불
때러 갔다 왔다는 말은 들어 봤어도 너처럼 배 속에 온수 빼고 왔다는 말은 난생처음 듣는다.”
그러자 친구는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더니 “야!
아궁이에 불 때면
온수가 나온다는 것 모르지.”
알 것도 같으면서
또 무를 듯 생각이 토라진다.
“오줌 싸고 왔다고.
담배 피우면 배
속의 물이 뜨겁게 데워질 것 아니야.
알겠어.”
그제야 나는
웃었다.
참,
만들어내기도 잘
만들어낸다.
아주
그럴싸하다.
담배를 입으로
피우면 배 속의 물이 뜨겁게 데워진다.
보일러가 따로
없다.
그렇다면 아주 이참에 그 따뜻한 온수
많이 빼서 칼국수에 말아 먹으면 되겠다.
“야!
그 온수 아무
데나 흘리고 다니지 말고 이럴 때 칼국수 육수로 빼서 말아 먹으면 좋겠다.”
“어린애들 앞에서
아무 말도 못 해.
너나 많이 만들어
먹어라.”
“어느
기생충인지는 모르지만,
이 겨운 겨울
따뜻한 아래 묵에서 잘 나겠네.
사람 팔자보다
기생충 팔자 알아줘야겠다.”
“네 마음대로
하세요.”
기발하다.
표현의 달인이라
할 만큼.
그래 그 온수인지
육수인지 추억이 떠오른다.
그 날이 동짓날이었을
것이다.
어머니가 마루
한쪽에 팥죽을 담아 갖다 놓았는데 자다가 오줌이 마려워서 일어난 나는 잠결에 팥죽 그릇을 요강으로 보았는지 떡하니 팥죽에 오줌을 쌌고 어머니는
이튿날 그 팥죽을 떠서 아버지께 드렸고 나는 그 사실을 말할 수 없어 입만 다물고 있는데 아버지께서 하시는 말이 “이상하네.
누가 팥죽에다
오줌을 쌌나?
비린내가
나네.”
그러자 어머니는
냄새를 맡아보시더니 “누가 그랬어?”
난리가
났다.
끝내 나는 말
한마디 못하고 말없이 밥상머리를 떴다.
아마 어머니는 내가 범인인 것을 다 알고
계셨을 것이다.
그게 어머니의
사랑의 셈법이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