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문재학 시인의 작품읽기

문재학 시인
김치 예찬 2
작성자: 문재학 조회: 2672 등록일: 2022-01-21

김치 예찬 2

소산/문 재학

 

생각만 해도 군침이 감도는

민족고유의 김치 향기에

선조들의 고귀한 지혜가

살아 숨 쉬고.

 

기나긴 엄동설한(嚴冬雪寒)에

결코 질리지 않는

밑반찬으로 자리 잡아

끼니마다 입맛을 돋우네.

 

온갖 기초양념으로

수많은 종류의 화려한 변신

다양한 용도로 빛을 발하며

풍성한 건강 지킴이로

자손만대(子孫萬代)에 이어지리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면서

각광(脚光)을 받는

김치 종주국이 자랑스러워라.

 

 

핑 클 22.01.15 22:32

 밥도둑 김치를 사랑하는 김치예찬론  이네요
세계 어느나라와도 비교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자존심입니다~~

 

갈잎풍경 22.01.17 12:23

아무리 좋은 음식도 김치가 빠지면 상차림이 허술해 보입니다.
육류에도 김치를 곁들이면 그 맛이 그만입니다.
우리식품 우리김치 선인들의 후덕으로 입맛 살리고 건강 살리는 최고의 우리 김치를 사랑 합니다.
김치예찬 좋은 글 즐겁게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노을풍경1 22.01.17 14:41

우리 민족은 김치가 없으면 안되지요
요즈음 춥고 나가기 싫을때 김장 김치 한포기면  여러가지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어어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김치예찬 속에 저역시 공감하면서 머물다 갑니다 늘 행복 하십시요~

 

道公/서명수 22.01.15 11:45

 우리나라 김치는 어디에 내 놓아도 일품입니다.
김치 없이는 밥을 못 먹는 우리네 입맛이 세계에서도   각광 받고 있지요.
김치 예찬에 대한 소중한 詩   감사 드립니다

 

소당/김태은 22.01.15 17:36

우리나라의 고유인 맛조응 김치예찬  시어가 아주 멋집니다 . 건안하시죠?!
언제나 변함없이 성실한 소산시인 수필가님 !
새해엔 더욱 더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雲岩/韓秉珍 22.01.15 12:03

소산 선생님 토요일 점심시간 김치 예찬 좋은 글 잘 감상했습니다

오후에도 추운날씨에 건강유의 하시고 코로나19 조심하시고 행복한 시간 보내십시오

 

박정걸 22.01.16 10:52

하하하 ㅡ
김치없으면 못 살아  김치없이 무슨 맛으로 밥 먹을까
수많은 김치 사랑  띵호왕~띵호왕~   우리의 맛 우리의 전통김치 최고 입니다ㅡ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ㅡ방긋

 

Peter hwang 22.01.16 12:40

김치 예찬.김치는 우리 선조때부터 먹거리로 없어선 않되는 음식,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한국많의 자랑거리..잘 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소산 문재학 시인님 늘~건강하세요.

 

포도마을 22.01.16 22:05

김치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아주 귀중한 음식입니다
김치 예찬에 감사합니다

 

진춘권 22.01.16 15:23

김치 예찬. 좋은 글 감사한 마음으로 즐감하고 나갑니다

수고하여 올려 주신 덕분에
편히 앉아서 잠시 즐기면서 머물다 갑니다 항상 건강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이뿌니 08:45 

옛부터 김치는 반양식 이라고 했죠
깊은겨울 하얀 쌀밥에  김치 한가지면 최고에 반찬 입니다

 

진오 22.01.17 19:29

김치가 없으면 밥을 못 먹지요.
꿀맛같은 김치 글 잘 보고갑니다.    고맙습니다.

 

산월 최길준 22.01.17 14:54

글로벌 시대를 맞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면서
각광(脚光)을 받는
김치 종주국이 자랑스러워라.
....김치 예찬에 한표 던지고 갑니다.

댓글 : 0
이전글 세상 인심
다음글 마음의 그림자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525 가족 나들이 문재학 75 2025-05-15
524 기침 소리 1 문재학 129 2025-05-09
523 고향 집 지금은 문재학 284 2025-05-03
522 유채꽃 문재학 382 2025-04-25
521 아버지 1 문재학 331 2025-04-18
520 벚꽃 나들이 문재학 359 2025-04-11
519 대금산 산행 문재학 334 2025-04-04
518 인생여로 2 문재학 348 2025-04-04
517 그 이름 어머니 문재학 432 2025-03-21
516 황혼길 1 문재학 555 2025-03-15
515 봄기운 4 문재학 600 2025-03-06
514 죽마고우 1 문재학 491 2025-02-27
513 옛 임 3 문재학 644 2025-02-21
512 카톡 문재학 790 2025-02-15
511 눈꽃 문재학 735 2025-02-07
510 행복한 삶 문재학 744 2025-01-31
509 무정한 꿈 문재학 778 2025-01-23
508 상념의 겨울밤 문재학 1065 2025-01-17
507 모자 예찬 문재학 1089 2025-01-10
506 일주기 문재학 1162 2025-01-03
505 소중한 인생 문재학 1215 2024-12-27
504 문상 길 문재학 1620 2024-12-19
503 부부의 길 문재학 1587 2024-12-14
502 삶의 꽃길 문재학 1500 2024-12-07
501 소금산 산행 문재학 1682 2024-12-04
500 노년의 고개 문재학 1551 2024-11-30
499 산촌의 가을 문재학 1574 2024-11-22
498 만추 1 문재학 1537 2024-11-15
497 영원한 이별 문재학 1729 2024-11-08
496 불면의 가을밤 문재학 1621 2024-11-01
495 황혼의 부부 문재학 1533 2024-10-26
494 아스타 국화축제 문재학 1560 2024-10-19
493 황매산 억새 문재학 2008 2024-10-10
492 이상 기후 문재학 1722 2024-09-27
491 한가위 풍경 문재학 1812 2024-09-21
490 가을인가 문재학 1893 2024-09-06
489 짙어가는 그리움 문재학 2158 2024-08-29
488 사랑의 호수 문재학 1739 2024-08-24
487 치매 문재학 2033 2024-08-17
486 마음을 비우면 행복이 문재학 2123 2024-08-09
485 열대야 문재학 1888 2024-08-02
484 희망의 등불 문재학 2083 2024-07-26
483 연모의 강 문재학 1971 2024-07-20
482 얼굴 예찬 문재학 1927 2024-07-12
481 효행길 문재학 1962 2024-07-05
480 정단의 묘기 문재학 1891 2024-06-28
479 그리운 어머니 2 문재학 2048 2024-06-19
478 고석정 문재학 2048 2024-06-13
477 백마 고지 문재학 2310 2024-06-06
476 용문 석굴 문재학 2029 2024-05-3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