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문재학 시인의 작품읽기

문재학 시인
참을 인
작성자: 문재학 조회: 2565 등록일: 2021-03-13

참을 忍

소산/문 재학

얽히고설킨 세상살이에

분기탱천(憤氣撑天) 할 일이

그 얼마나 많은가

 

찰나(刹那)같은 인생살이에

참지 못한

욱하는 열불로

남는 것이 무엇인가

 

평생후회로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살아야 하는 일도 있으리라.

 

분노와 증오. 탐욕. 울분 등등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것을

깊고 깊은 심호흡(深呼吸)

참을 忍자로 다스리면

 

평온(平穩)한 마음의 호수에

환한 미소가 어리는

행복이 넘쳐흐르리라.

 

 

지슬 美 21.03.09 11:02

칼에다 마음을 정성껏 꼭 찝어 놓듯이 참고 참으면 忍
세상이 편해 집니다 오늘도 변함없이 주신 글에 넘 고맙습니다
마음에 꼭 새겨둡니다 고맙습니다~


소당/김태은  21.03.09 09:43

一 時 忍 耐 免 大 患 =일 시 인 내 면 대 환 

참을 인 참 어렵지요 도자기 작품이 소산 시인님 소장품 인 것 같습니다. 멋지고 아름답습니다.저도

부채에 忍 자 써서  컴퓨터 위에 걸어놓고 매일 보고 욱"하는 성격을 고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천성은 고치기 힘든 것 같아요 ㅎㅎ  죽는 날 까지 함 고처보도록 노력 해 보겠습니다


 나만의 공간  21.03.09 19:08

분기 탱천 새로운 단어를 공부하였습니다..그런일이 없이 살아온 사람은 매우 드물것이라 생각을 합니다...이제는 그런일들은 과거에 있었던 일이고 이제는 늘 평온함 속에 행복이 있어야 겠지요....좋은글 감사합니다..늘 배웁니다..감사합니다..


노을풍경1 21.03.09 14:36

우린 살아 가면서 분을 참지 못해  실언을하고 상처를 주며 살아 가기도 하지요
조금만 참았으면 서로 상처가되는 일은 없을텐데 하고는  반성하을 하면서도요
조금만 참으면 내마음이 그렇게 평온해지는 것을 모르고 말 입니다   고운 시어에 함께하고 갑니다
소산님! 늘 행복 하십시요~


옹성 조봉현 21.03.10 08:22

참을인자 셋이면 살인도 면한다는 옛말처럼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한번 생각 하고 행동으로 옮긴다면
참 좋으련만 우리 인생 살이가 힘들어서조급함을 참지 못하는게 아닐까 생각 해 봅니다.
이글을 읽고 다시 한번 생각 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산님 감사 합니다


장은영 21.03.09 10:12

인간의 탐진치(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치는 세 가지 해독, 탐()·진()·치().)를 누그러뜨리고 빈 마음으로 오늘을 감사하며 후회없이 살고 싶습니다.
인생의 속성으로 인한 고난을 위로하는 시 잘 감상했습니다


꿀벌 21.03.09 23:40

복잡하고 어지러운 세상 참을 忍으로 순간만 참으면 큰 화를 면하고 평온해지리라 생각됩니다
명시글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따뜻한 봄 즐기시고 행복하세요~~


소우주 21.03.09 10:4

4참을 인을 실천 하면서  평온한 마음의 호수에  환한 미소가 어리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思岡안숙자 21.03.09 23:35

참을 인(忍)자는 칼날(刃)자 밑에 마음심(心)자가 있는데  가만히 뜻을 음미해보면
미움, 증오, 분노, 탐욕 등  이런 온갖 것들이 싹틀 때마다 마음속에 있는 칼로 잘라버리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이렇듯 인내는 아픔을 동반하지만 그 모든 것들이 德으로서 자기도야가 되는 길이니  참을 忍을 새기고 살 일입니다.
도자기가 기품 있고 멋있게 생겼군요.    좋은 글 음미하면서 머물고 갑니다.

댓글 : 0
이전글 그리움의 불꽃 2
다음글 심술보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433 자유글마당 하늘궁 삶 명상 이창원(법성) 3189 2022-05-11
432 오일장 문재학 3146 2022-05-06
431 천리 길 동행 문재학 3080 2022-04-29
430 성춘향 문재학 2977 2022-04-21
429 꽃비 문재학 3002 2022-04-16
428 건강 차령 2 문재학 3099 2022-04-07
427 봄바람 3 문재학 3409 2022-03-31
426 보금자리 문재학 3343 2022-03-24
425 비련 2 문재학 3121 2022-03-16
424 능수매화 문재학 3221 2022-03-11
423 홍매화 문재학 3217 2022-03-07
422 성급한 봄 문재학 3199 2022-03-02
421 숨소리 2 문재학 2954 2022-02-23
420 봄기운 3 문재학 3395 2022-02-16
419 설 풍경 문재학 2600 2022-02-09
418 설맞이 문재학 2761 2022-02-03
417 세상 인심 문재학 2678 2022-01-29
416 김치 예찬 2 문재학 2832 2022-01-21
415 마음의 그림자 문재학 2469 2022-01-13
414 살아 있기에 2 문재학 2348 2022-01-06
413 하현달 문재학 2603 2021-12-31
412 회한의 삶 문재학 2591 2021-12-23
411 밤바람 문재학 2612 2021-12-17
410 고독한 밤 문재학 2437 2021-12-09
409 행복의 파트너 문재학 2464 2021-12-03
408 만추 문재학 2713 2021-11-27
407 연정의 오솔길 문재학 2906 2021-11-20
406 꼬부랑 노파 문재학 2241 2021-11-12
405 불일폭포 문재학 2732 2021-11-07
404 가우라꽃 문재학 2780 2021-10-30
403 황혼의 그림자 문재학 2729 2021-10-23
402 화살나무 문재학 2843 2021-10-16
401 가울이면 문재학 2401 2021-10-09
400 백일홍 문재학 2592 2021-09-30
399 쓸슬한 한가위 문재학 2682 2021-09-23
398 물이끼 문재학 2578 2021-09-16
397 추억의 뒷골목 문재학 2161 2021-09-08
396 고뇌 문재학 2523 2021-09-02
395 지금 이 순간 문재학 2502 2021-08-28
394 산책길 노파 문재학 2349 2021-08-28
393 반딧불 사랑 문재학 2505 2021-08-14
392 아침노을 문재학 2641 2021-08-09
391 해바라기 꽃 문재학 2679 2021-07-31
390 산촌의 여름밤 문재학 2667 2021-07-31
389 비탄의 강 문재학 2549 2021-07-15
388 노각나무 문재학 2571 2021-07-11
387 물빛 그림자 문재학 2478 2021-07-01
386 일출 문재학 2657 2021-06-25
385 파도소리 3 문재학 2467 2021-06-16
384 쓸쓸한 고향 문재학 2409 2021-06-1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