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김소해 시인의 작품읽기

김소해 시인
김소해 <서너 백년 기다릴게> 평설, 정희경
작성자: 김소해 조회: 525 등록일: 2024-12-21

서너 백년 기다린 완창과 절창

-김소해 시조집 서너 백년 기다릴게

 

글 정희경 문학도시 편집장

 

시조는 고리타분하다” “시조는 음풍농월이다” “시조는 창으로 불린다” “시조는 조선시대 문학이다등 아직도 현대시조에 대해 이런 편견을 가지고 있다면 그건 시조에 대해 무지하거나 무심한 국민이다. 1년간 발간되는 개인 시조집과 전문 잡지가 몇백 권이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번역되는 시조도 꾸준히 늘고 있다. 문학진흥법에 시조가 독립 장르가 된 지도 몇 년이 흘렀다. 그동안 시조시인들은 투사와 같은 마음으로 시조를 알리고 주옥같은 작품을 창작해 왔다. 시조시인들은 애국심, 혹은 단순히 우리 것이라는 것을 내세워 시조를 국민문학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시조가 우리의 사상과 감정 그리고 문화를 가장 잘 담아낼 수 있는 그릇이기 때문에 국민문학이다.

참 오랜 시간 완창과 절창의 시조를 기다리며 삶 자체가 시조인 김소해 시인의 여섯 번째 시조집 서너 백년 기다릴게를 만나면 시조에 대한 그간의 편견은 사라질 것이다. 치열하게 시조에 천착하고 퇴고에 퇴고를 거듭해 완성도 높은 작품을 독자에게 선사한다.


새끼 잃은 어미 소 그 울음을 들은 적 있다/들어 올린 북채가 화음을 치는 순간/가슴팍 소 한 마리가/길을 잃고 헤맨다//둥근 방점 쿵쿵 찍는 오케스트라 큰북 한 채/악기란 악기 소리 품어 안는 우렛소리/저음의 깊은 울림은, /저 소의 빈 가슴이다 -큰북전문

 

한 편의 시조에서 북소리가 끝도 없이 울린다. 그것도 가슴을 치면서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오케스트라 큰북은 곧 새끼 잃은 어미 소의 울음이기 때문이다. 오케스트라에서 저음으로 울리는 큰북의 소리를 새끼 잃은” “소의 빈 가슴이라는 글자로 표현하는 능력이 범상치 않다. “어미 소” “소 한 마리” “저 소등 소의 지칭을 다양화하고 울음” “화음” “우렛소리” “울림빈 가슴으로 집중되어 반복과 지루함을 피하고 있는 점도 퇴고를 거듭한 결과이리라. 이 시조를 읽으면 큰 눈망울을 가진 소 한 마리가 너른 들판에서 노을을 배경으로 우는 모습과 오케스트라 속의 큰 북의 울림이 오버랩 된다. 독자는 소와 함께 속울음을 울게 될 것이다. 거기에는 소의 희생 또한 한자리를 잡고 있다.


그 노인 뙈기밭 길과 한 몸이던 거기/기다리던 발소리 산으로 가셨으니/적막에 귀 열어놓고 길도 따라 길을 버린//안타까이 우거지는 쇠뜨기며 패랭이며/조문이듯 위로이듯 순장을 덮어준다/풍장도 마다않아서 산이 되는 비탈길 -길의 순장전문

 

순장이라는 시어로 작품을 쓴다면 과거로의 소급일 확률이 높다. 그러나 이 시조는 순장이라는 시어의 가치를 가장 현대적으로 끌어올린 작품이다. “뙈기밭을 일구기 위해 수없이 오르내린 길, 그 길이 기억하는 그 노인발소리”, 그러나 그가 없는 길, 그 길도 그를 따라 순장한 것이다. “쇠뜨기며 패랭이도 조문하듯 길을 덮고 결국 비탈길은 산이 되었다. 이 작품에서 굳이 농촌의 인구감소라는 이성적인 논지를 얘기하고 싶지 않다. 인간과 자연이 하나 되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길, 노인을 따라 순장한 그 길, 그 아름다움 하나로도 이 작품은 시조로서의 품격을 지킨 작품이다.


밭고랑 호미질에 꼬리 자르고 도망가던//도망은 가더라도 제 살을 자르다니//얼마나 다급했으면 아픈 줄도 몰랐을까//구조조정 찬바람은 바닥에 먼저 불어//명함은 없더라도 꽃잎같이 내걸었던//사랑네 분식점 간판 그 덕으로 그나마//그나마 그 덕으로 네 식구 따스한 둥지//이마저 시샘하는 역병, 금줄을 둘렀다//도마뱀 꼬리 자르듯 간판을 내린다 -도마뱀 꼬리를 자르고전문

 

서너 백년 기다릴게의 또 다른 미덕은 김 시조시인의 주위에 존재하는 작고 여린 것들에 따듯한 시선이 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현대시조가 안고 있는 시절가조의 역할에 충실한 결과이다,

밭고랑 호미질에 꼬리 자르고 도망가던도마뱀에 비유된 사랑네 분식점의 모습은 지금 우리들의 모습이다. “구조조정에서 역병으로 간판을 내려야 하는 우리 소상공인의 아픔이 네 식구 따스한 둥지마저 위협하는 실정이 되었다. 시조시인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재개발에 희생된 장미주택 동백연립”(우리 동네), “재건축이 밀다 놓친달빛공장 완월동, “잔치는 푸짐해도 초대받지 못한 원주민”() 등 재개발에 밀려난 그늘진 곳을 감싸준다. 그리고 그 절정은 부산항 지게 노동자들 항의 시위쓰러진 풀 아직 운다라고 표현한 풀을 다시 읽다에 있다. 주위를 살뜰히 살피는 작가만이 이런 소재를 선택할 수 있고 또 사라져가는 것들을 시조로 남길 수 있는 것이다.

 

악보에 담지 못한 노래가 여기 있네/어매의 어매로부터 그늘이 물든 소리/내딛는 걸음걸음이/그냥 그대로 화음이던//문자보다 음표보다 먼저 태어난 노래여서/아리랑 굽이굽이 일렁이는 마음이던/완창도 절창도 아닌/시작도 끝도 따로 없던//감자밭 감자두둑 알이 굵은 까닭이사/밭고랑 호미질에 노래가 얹힌 때문/가시고 한참 후에도/알은 여직 굵어 있네 -하지감자전문

 

악보에 담지 못한 노래는 어머니의 노래다. “완창도 절창도 아닌/시작도 끝도 따로 없던우리 어머니의 노동이요, 삶이다. “하지감자를 심고 가꾸고 거두는 과정에서의 어머니의 노고가 전통적인 여성의 삶으로 확대된다. “문자보다 음표보다 먼저 태어난 노래는 전통적인 어머니의 삶을 견인하며 감자두둑 알이 굵은 까닭이 된다. 그렇다면 이 작품은 어머니에 대한 지극한 헌사이다. 가장 보편적이고 전통적인 어머니를 그리면서 구황작물인 하지감자라는 독특한 소재를 선택하여 알은 여직 굵어 있네라고 전통을 현재에까지 끌고 오는 힘을 발휘한다. 또한 여운을 짙게 남겨, 김소해 시조시인만의 개성이 여지없이 발휘된 작품이다.

김소해 시인에게 있어 악보에 담지 못한 노래는 시조라는 생각이 든다. “완창도 절창도아직 아니라며 시작도 끝도 없는 그 노래를 부르고 있는 시조시인, “늦도록 늦은 밤 나는 아직 길에 있네라며 바람도 잠들지 못한 길” “서너 백년 기다”(찔레꽃 명당)린다는 김소해 시조시인, 그의 시조는 절창과 완창을 서너 백년 기다린 독자에게 이미 단비 같은 존재이다.


댓글 : 0
이전글 2013 시조세게 봄호 이경철 평론가, 김소해 편
다음글 대구일보, 실금 - 이정환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27 시조 삭제된 게시물 입니다. 김소해 0 2025-04-18
226 시조 <한국문학인> 2025년 봄호 김소해 418 2025-03-28
225 시조 개, 라는 모자를 쓰고 김소해 205 2025-03-19
224 시조 흰 꽃나무에 발목 잡혀 김소해 364 2025-03-19
223 평론 2013 시조세게 봄호 이경철 평론가, 김소해 편 김소해 316 2025-02-28
평론 김소해 <서너 백년 기다릴게> 평설, 정희경 김소해 526 2024-12-21
221 평론 대구일보, 실금 - 이정환 김소해 596 2024-12-08
220 평론 대구일보 - 문향만리 / 이정환 김소해 552 2024-12-07
219 평론 문향만리 - 이정환 김소해 582 2024-12-07
218 평론 권영오 시인의 평설 <대장장이 딸> 김소해 572 2024-12-04
217 시조 2024년 가람시학 김소해 550 2024-11-27
216 시조 <시조정신> 2024 년 추동호 김소해 616 2024-11-03
215 평론 부산시조 2024 하반기호 김소해 677 2024-10-03
214 시조 <정형시학> 2023 여름호 김소해 718 2024-10-03
213 시조 2024년 충북시조 김소해 757 2024-09-3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