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김소해 시인의 작품읽기

김소해 시인
권영오 시인의 평설 <대장장이 딸>
작성자: 김소해 조회: 572 등록일: 2024-12-04

권영오의 진짜 좋은 시조-김소해 편

 

프로파일

heejung 2021. 1. 6. 10:53

 

 

대장장이 딸

 

 

사랑을 훔치려다 불을 훔치고 말았다

 

무쇠 시우쇠, 조선낫 얻기까지

 

숯덩이 사르는 불꽃

 

명치 아래 풀무질

 

 

탄생에 대한 짜릿한 보고, 김소해

 

빼어난 시조집도 많지 않지만 단시조만으로 빼어나게 엮은 시집은 더 드물다. 단시조는 잘 썼을 때는 수많은 말들을 압도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작자의 밑천을 다 까발리는 수가 있다. 그만큼 위험한 장르다. 단시조야말로 '한 칼'이 없으면 안 쓰는 게 낫다.

그러니까 연시조로까지 밀고 나가는 힘이 부족해서 중도에서 멈춘 것이 단시조여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투수에 비유하자면 단시조는 직구다. 아무리 변화무쌍한 변화구를 갖고 있더라도 직구의 구속이 부족하거나 적재적소를 공략하는 컨트롤이 없다면 성공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특히 구속은 노력한다고 향상되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 단시조와 더욱 흡사하다.

 

사랑을 훔치려다 불을 훔치고 말았다

 

무쇠 시우되, 조선낫 얻기까지

 

숯덩이 사르는 불꽃

 

명치 아래 풀무질

 

평론

 

과연 시조의 역사를 통틀어 이만큼 에로틱한 시가 있었을까 싶을 만큼 "명치 아래 풀무질"에서 침이 꼴깍 넘어간다. 어차피 사랑이라는 것은 ''이 들어가지 않고는 미완성이다. 불이야말로 사랑을 지속하는 엔진인 셈이다. 초장부터 감동 작렬이다. "사랑을 훔치려다 불을 훔치고 말았다"는데 그 다음 줄, 중장을 안 읽을 수가 없다. "무쇠 시우쇠, 조선낫"에 이르면 어쩐지 무시무시한 무언가가 기다리고 있는 느낌이다. 그렇지만 언젠가, 어디선가 본 듯한 느낌이 들면서 '우리 것은 좋은 것'으로 끌고 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대체로 '글발'이 떨어지는 작가라면 이 지점에서 통속이나 구태의연의 나락으로 떨어지기가 쉽다. 그런데 김소해는 "명치 아래"를 통해 에로티시즘의 초고봉에 오르고 만다.

 

쉭쉭 소리를 내며 풀무는 드나들고, 이글이글 숯에는 불꽃이 튀고, 무쇠 같던 사람도 녹지 않을 수가 없는 경지를 열어 보인 것이다. 거꾸로 읽어보면 불이 들어가 무쇠를 녹이고, 불을 훔치고 사랑을 훔치는 과정이 순서대로 정렬돼 있다.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이 또한 명작에나 따라붙는 행운이다.

 

결국 대장장이 딸은 잉태와 산고와 탄생에 관한 보고다. 세상에 이렇게 짜릿한 보고라니, 이렇게 아름다운 불장난이라니.

 

-좋은시조2020.겨울호

 

 

댓글 : 0
이전글 문향만리 - 이정환
다음글 2024년 가람시학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27 시조 삭제된 게시물 입니다. 김소해 0 2025-04-18
226 시조 <한국문학인> 2025년 봄호 김소해 418 2025-03-28
225 시조 개, 라는 모자를 쓰고 김소해 206 2025-03-19
224 시조 흰 꽃나무에 발목 잡혀 김소해 364 2025-03-19
223 평론 2013 시조세게 봄호 이경철 평론가, 김소해 편 김소해 317 2025-02-28
222 평론 김소해 <서너 백년 기다릴게> 평설, 정희경 김소해 526 2024-12-21
221 평론 대구일보, 실금 - 이정환 김소해 597 2024-12-08
220 평론 대구일보 - 문향만리 / 이정환 김소해 552 2024-12-07
219 평론 문향만리 - 이정환 김소해 582 2024-12-07
평론 권영오 시인의 평설 <대장장이 딸> 김소해 573 2024-12-04
217 시조 2024년 가람시학 김소해 550 2024-11-27
216 시조 <시조정신> 2024 년 추동호 김소해 617 2024-11-03
215 평론 부산시조 2024 하반기호 김소해 677 2024-10-03
214 시조 <정형시학> 2023 여름호 김소해 719 2024-10-03
213 시조 2024년 충북시조 김소해 757 2024-09-3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