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행복한 별아 모이라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2268 등록일: 2021-08-16
첨부파일: 행복한별아모이라.hwp(62.5KB)Download: 0

 

 

 

 

 

 

행복한 별아 모이라

이영지문화예술인 시집

 

 

 

 

 

 

 

 

 

 

시인의 말

 

36구의 향기 시조시학

1. 향기별

이 시집은 별이 시집 전체에 중요시어로 나오는 시집입니다. 이 별 시어는 제 시의 주제인 향기로 대표되는 시어입니다. 저는 향기 나는 삶이고 싶어서 이 시집을 썼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마무리 해 놓은 시들입니다. 구체적인 시어를 *별로 표시하면서 명실 상고 히 한국시조의 시조창 연원에 접근되어 있습니다.

향기 나는 삶의 구체적인 방법은 그림자의 삶을 사는 일입니다. 스스로 향기 나는 삶이 아닙니다. 누구의 삶을 본받아 그 그림자의 향기를 내는 일입니다. 그림자라는 말은 다른 말로 바꾸어 이미지시라는 말이고 우리말로는 배짜는 삶입니다. 이 그림자를 성경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 곧 그림자의 인생이라 합니다. 누구나 향기 나는 삶을 살고 싶지만 스스로 향기 낸다는 말이 얼마나 황당한지요! 어느 누구도 스스로는 향기를 발할 수 없습니다. 다만 향기 나는 분의 향기그림자를 따르는 일입니다. 그림자의 삶을 사는 일입니다.

저는 항상 시조작품의 주제로 소중히 간직하는 우리 고유개념의 향기가 더욱 빛나는 시조작품을 쓰고 싶어 합니다. 시조작품은 사실 달의 원리를 근거로 합니다. 한 달에 한 번 씩 순환하는 이 달은 그냥 달이 아니고 달의 그림자를 따르는 일 향기를 내는 일입니다.

그림자라는 말은 향기의 이미지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절대자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 아름다운 모습인 동시에 향기 이미지 in the image of의 정통의 문학 향기로 저는 시조작품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베짜는 일입니다., 성경은 이를 베잘렘으로 표현합니다.

소중한 시조작품 형태는 신라시대 36명의 향가鄕歌까지 이어집니다. 강희자전이 말하는 36명이 지닌 종결어미를 가지는 오늘날 시조시학이 가지는 36를 말합니다.

최행귀의 역가서문 기록이 있습니다.

 

시구강사 마탁어오언칠자詩構唐辭 磨琢於五言七字

가배향어 절차어삼구육명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절차切磋나 마탁磨琢은 퇴고에 퇴고를 거듭하여 작품이 탄생되는 경위를 말하는 것이고 우리 조상들은 시시 때대로 우러나오는 서정의 감성을 잘 다음어서 낸 이른바 36명이라 하였고 오늘날의 시조작품이 가지는 특징 36구를 말합니다. 36명 기록 강희자전에 구항 왕 편조에 언어장구야言語章句也라 하였습니다.

우리의 리듬은 전편에서 초장과 중장과 종장 모두 3 4 3 4/ 3 4 3 4/ 3 5 4 3의 리듬을 근거로 합니다. 이 가치는 참으로 귀한 보고입니다. 같은 배열이되 의미의 중첩 또는 반대 · 그리고 상응이 되는 바 달이 차고 기우는 이동성의 리듬 달의 원리로 된 초 · 중장 원리로 합니다.

 

2. 종장의 묘미

 

시조시학의 절대법칙인 시조 종장 첫구를 3자가 있습니다. 종장 첫구의 3자 리듬을 절대화는 제목을 대변하는 세 마디 말로서 잘 드러내는데 있습니다. 그러나 옛 시조가 보여주는 어즈버 · 아희야와는 달리 현대 시에서도 이육사청포도시의 아이야’ · 이상 시 오감도 9호의 나는참등의 매력적 기법에 맞먹은 시조작품의 종장 첫구를 3자로 하는 일입니다.

시조작품의 종장 3자 리듬은 가장 소중한 감탄기법입니다. 초장 · 중장이 종장이 모두 15자이면서 의미로서 그 끝을 어떻게 마감하기 위한 절묘한 3자의 감탄기법입니다. 아주 오랜 우리나라 정통기법입니다. 이를 잘 인지하고 종장 첫구에서 3자의 묘미를 드러내는 감탄 기법입니다.

한 사람의 생애는 처음과 끝이 있음과 같이 인생의 유한성을 시조종장의 끝마무리로 한 기법은 시조 이름이 가지는 시조時調 곧 일상의 그때그때 일어나는 마음의 정서를 잘 지키면서도 종장에서 임의 마무리하는 책임 있는 종장이 시조시인에게는 있습니다.

 

3. 시조작품의 종류

 

시조작품에는 단시조 · 연시조 · 사설시조 · 양장시조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어떤 기법을 취하느냐는 자유의지입니다. 이 모든 시조의 공통분모는 3글자와

댓글 : 0
이전글 물은 생명이다
다음글 유아린의 꿈꾸라시집 평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372 시조 개나리 이영지 0 9267 2014-02-04
371 평론 푸르른 그리움의 사랑눈물시학 이영지 0 9592 2014-02-04
370 평론 화해의 몸짓 이영지 0 10244 2014-02-01
369 풀과 꽃의 색을 옷에 물들여 입고 - 새벽기도 2103 이영지 0 9252 2014-01-27
368 평론 모더니즘 계열 서정시인의 에덴 시학자 논문작성 이영지 이영지 0 9314 2014-01-25
367 평론 웃음줍기논문자성자 이영지 이영지 0 9942 2014-01-25
366 평론 웃음줍기 논문작성 이영지 이영지 0 10342 2014-01-25
365 시조 새해에 사랑등어리 이영지 0 9855 2014-01-25
364 평론 신앙영웅 신화의 장/논문작성 이영지 이영지 0 9852 2014-01-20
363 평론 나무가 되고 싶다/논문작성 이영지 이영지 0 10013 2014-01-18
362 평론 길가다가 이영지 0 9142 2014-01-18
361 평론 모더니즘의 특징 나와 너의 분리/논문작성이영지 이영지 0 9593 2014-01-17
360 평론 아브라함이 아내를 팔려한 사건 이영지 0 9434 2014-01-17
359 평론 /논문작성이영지/나비야 청산가자 시집(서울:창조문학사, 1992)의... 이영지 0 8906 2014-01-16
358 평론 에덴의 모더니즘 시학/논문작성이영지 이영지 0 9720 2014-01-16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