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절대조건 “…한다면”
- 채영선 시집 『사랑한다면』 -
이 영 지
채영선 시인 시집 「사랑한다면」은 만일의 가정법을 사용하였다. ‘사랑한다면’이라는 가정법은 우선 우리나라의 향토 시인 김소월에게서 찾아진다. 소월시 ‘나보기가 역겨워 가신다면’의 “…다면”은 채영선 시에서 “사랑한다면”과 더불어 이 세상에서 무엇보다도 그 내용이 가장 귀중한 사랑을 주제로 한 마음의 자세로 상대방의 사랑을 감지하려 한다.
이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제 채영선의 60편 시는 5부로 나뉘어 지면서 열두 편을 꼬박 일정하게 엮고 있다. 사랑을 절실히 원하는 내용이다. 곧 절대 사랑은 하나님에게만 가능하지만 그래도 최영선 시인의 사랑 농도를 올리겠다는 채 시인의 의지적인 면 곧 이성유추의 이미지이다. 채영선 시인은 신학 전공자이다. 때문에 이 시집에서는 하나님에 대한 소명의식이 내재한다. 때문에 채영선 개인의 시집은 신학적 의미의 접근이면서도 세계정서인 1년 열두달의 공유와 아울러 가장 한국적인 열두폭치마를 비롯하여 물건의 개수가 열두개로 들어있는 한 묶음의 의미까지 공유하는 신학성과 한국고유의 정서를 고루고루 갖춘 내면의 갈망의식이 이 시집 속에 있다. 더구나 ‘사랑’이라는 어휘가 앞에 붙으면서 ‘사랑한다면’의 이렇게 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하나님의 명령이 숨어 있다.
이 때 채 시인의 시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이퍼성으로 접근한다고 할 때 1부 12편 -2부 12편 -3부 12편 -4부 12편 -5부 12편으로 된 채영선 시인의 시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작품 전부 검토되어야 할 일이다. ‘사랑한다면’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사랑을 전제로 한 연작시적 시형식인 1, 2, 3 순을 따르고 있지는 않지만 일련의 일정한 12편이 각 부마다 배열되어 있는 점에 따라 그 의미도 연결되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 60편의 시 작품은 각각 독립되면서도 ‘사랑한다면’이라는 전체에 수렴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60편의 시는 동시에 ‘사랑한다면’을 제목으로 하는 하나의 작품이다.
우선 1-5부까지에서 12편이라는 동일한 반복성을 지니고 있다. 말하자면 등가성의 선택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하여 5부와 12편의 동일성이 긴장관계가 되어 있다. 각 부마다 12개의 작품이 만들어내는 60 편을 똑같이 나누는 관점은 일차적으로 한국적 정서에서의 일생의 계산을 이 60세에 맞추고 있다는 일차적 보편성을 들 수 있다. 그러기에 시 제목과 더불어 일평생이라는 의미가 첨가되는 시들이다. 이에 이 연결 시들이 가지는 연결시어의 연결성을 찾아 나서게 된다.
각 부마다의 12작품은 일 년 열두 달을 의미하는 계절의 굴곡에서 채 시인이 겪는 체험들이 이미지화되면서 의미의 내포로 된 시적 곧 하나로 통일되는 ‘사랑한다면’의 가정법 하에 지어진다. 그만큼 ‘사랑’ 주제에 대한 절실성으로 하여 60편의 기본틀은 60편 상호간의 결합된 관계이다. 사랑한다는 개념을 앞세운 이 시들은 일차적으로 우선 음양의 결합이다. 이 시에 맴돌고 있는 사랑의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생성적 결합이 부부가 얼마만큼의 거리로 가까워져 있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주제로 하는 체험적인 사랑연가이다. 이국을 오가면서 성직자의 길을 걷는 남편을 따라 감당했던 의식의 파편들이 모아진 일심동체의 이 시는 한 몸이면서 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비유사성이 서로 결합관계가 되는 그 사이에 ‘사랑한다면’이 있다. 이 강한 욕구의식은 그 거리를 좁히면서 충족정도를 높이고 있다. ‘사랑한다면’이라는 제목 밑에 쓰여 진 60편의 작품들은 결국 하나이면서 사랑하는 마음의 유기체로 이루어진 갈망이다. 비록 예수님처럼은 아니더라도 인간이 할 수 있는 사랑의 깊이를 일생 도전해 본 참으로 눈물겨운 사랑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