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한국 시조작품 창작리듬 연구 서문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4479 등록일: 2019-06-30

머리말

 

이 책은 본 연구자가 이 세상에서 맡아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책입니다. 본 연구자는 한국문학 장르의 하나인 시조시인으로 1979년 등단하면서 일=(일어나의 고어)어나 오로지 시조작품에 매진하고 은나 ȅna(하나) 은나 다시 힘주며 일어나 1997년 시(창조문학)로 다시 등단한 시인입니다.

그런데 저가 사용하는 시어들이 살아 숨 쉬는 우리말입니다. 이 우리말은 산스크리트어 · 히브리어 · 라틴어 · 한자 · 영어 · 아람어 · 아카드어 등 세계의 반을 차지하는 지역에서도 발견되기에 신나는 일입니다. 그 중에서도 히브리어에서 발견되는 우리말 중에 하나를 들면 아빠야 ה󰖷󰔧(아빠야)입니다. 라틴어 abba · 아람어 아빠 άββά 아빠야 · 아카드어 ayabba !로 부릅니다.

이 우리말은 시조창작리듬으로 가령 하늘하면 하늘이라는 말만 달랑 말하지 아니하고 하늘이 하거나 하늘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래3글자와 4글자가 생깁니다. 시조작품 리듬은 초장 중장 모두 이 3 · 4 · 3 · 4 반복리듬입니다. 왜 두 번 반복하느냐 하는 문제는 반복되는 우리의 삶이 처음과 두 번 반복 서로 다른 의미 · 서로 상응되는 일 혹은 처음과는 다른 두 리듬 · 강조리듬입니다. 성경은 이 두 번의 리듬을 예수님 자리로 강조합니다. 3이 여성 · 4가 남성 리듬 이미지입니다. 저의 조상 이퇴계 할아버지가 주장하신 이기철학의 상응원리의 철학입니다.

3 · 4 · 3 · 4

3 · 4 · 3 · 4

3 · 5 · 4 · 3

 

이 리듬 중 종장은 남자 여자의 문제로 말하자면 둘이 만나 아 좋다 하는 우리말! 산스크리트어 아 아 아 (a )입니다. 즐거웁고 기쁘운 감탄 아! · 친구 만나 아! · 악수하며 아! · 좋은 경치 아! (a) · () · 이 아가 시조 종장 첫 3자 감탄 기법입니다. 종장 첫구 3자 님이여 · 벗이여 · 어즈버 · 아희야 · 이육사청포도시의 아이야! · 이상시 오감도 9호 나는 참! · 친한 친구끼리 이 새끼 · 아이야 · 아아아 · 그렇군 · 그렇지!

이에 맞먹는 시조의 묘미는 종장 끝구 3자입니다. 처음 감탄과 달리 생략될 성질의 하노라 대응입니다. 이세보 시조 450여수가 모두 종장의 마지막 3자가 생략되고 시조창에서는 종장 끝 구 3자를 임금님 앞 · 어른 앞에서 말하지 않는 겸손입니다. 그리고 종장 3 · 5 · 4 · 35 · 4 는 역시 첫구 3자에 대한 설명 설정으로 시의 마디를 넘어서는 절정인바 시조를 시조 다웁게 하는 시조 창작 작품리듬입니다.

우리민족은 우랄알타이계통 민족입니다. 글자그대로 우러러 보는 민족입니다. 사실 우리말은 발견되는 몇 각국의 언어에서 그대로 우리말이 나타납니다. 특히 제가 관심 두는 히브리어에서 아주 많이 나타납니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하나님이 허락하신 사계절과 유일하게 허락된 우리 토속사투리어가 어울려 만들어진 시조작품리듬을 저는 석사학위 논제로 노산시조(鷺山時調)연구에서 시조작품 자수의 진정성 3 · 4 · 3 · 4 · 3 · 4 · 3 · 4 · 3 · 5 · 4 · 3의 표준치를 찾으려 노력 하였습니다. 저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한국 이 상(李箱)시에 시조작품의 기본 리듬을 발견했고 이에 힘을 얻어 신학 전공하면서 저의 기본 연구바탕인 우리나라 자생 시조작품 리듬의 삼 단위 초장 · 중장이 지닌 리듬과 종장의 회복성의 리듬순서로 초월성과 현실성과 회복으로 신학 접목 연구자료 확인 했습니다.

그동안 없어졌던 숨 쉬는 언어 꼭지 이응 강 · · · · · · · · · · · · · 의 한글이 컴퓨터 자판기를 통해서 살아나는 기적이 있듯이 수 만 년 전 우리 언어가 사라진 무제국에서 그 자취를 드러냅니다. 더구나 무 제국 왕족이 한국 여인임에 놀랍니다. 더 나아가 The the Ha द हअ 저저기에 물 하 의 바로 숨 시는 물의 언어 하! 제가 그토록 연구하는 물의 언어가 찾아집니다. 이 놀라운 사실은 숨 쉬며 헤헤거리는 우리의 산목숨 숨 쉬며 처음 태어나 배운 언어가 미얀마어(버마어) · 산스크리트어 · 구자라트어 · 벵골어에서도 찾아집니다. 그러기에 우리 존재는 다름 아닌 시조작품의 리듬과 필연입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더욱 분명해지는 우리들이 쓰는 하 웃으리 하 하 하! 하는 감탄은 하늘 뜻을 따르는 초장 · 꿈과 이를 현실로 받아드리는 중장 · 종합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종장 리듬입니다. 하하하 웃으며 사는 목숨의 귀중한 가치는 바로 우리가 즐겨 쓰는 일상의 일을 시조작품으로 꿈을 시조작품 종장에서 구원과 기쁨으로 감탄합니다. 우리 민족은 아 하고 감탄하며 하하 웃을 일을 찾아내는 민족입니다.

2019. 문학박사 철학박사 李 英 芝

 

댓글 : 0
이전글 고향 이영지
다음글 인터넷에서 선호도 높은 이영지 시조작품들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492 시조 행복콩시집 이영지 0 2850 2020-12-20
491 평론 그리움의 시학- 유태영 시인의 해산의 고통보다 더한 그리움에 ... 이영지 0 2826 2020-12-06
490 평론 조성호 시의 서정 모더니즘 이영지 0 3995 2019-11-17
489 평론 물의 신학과 물의 시학 2019113 이영지 0 4693 2019-11-03
488 고향 이영지 이영지 0 4491 2019-09-15
평론 한국 시조작품 창작리듬 연구 서문 이영지 0 4480 2019-06-30
486 시조 인터넷에서 선호도 높은 이영지 시조작품들 이영지 0 4269 2019-06-25
485 평론 홍문표 에덴시학 최종 보관 서문 이영지 0 4688 2019-06-25
484 시조 봄 웃음 이영지 이영지 0 4344 2019-06-24
483 평론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이상의 오감도 시제1호의 리듬 이영지 0 0 2019-05-17
482 평론 나라를 다스리는 시조작품 창작리듬 이영지 이영지 0 3459 2019-04-06
481 평론 제 5장 에덴시학 이영지 0 3416 2019-03-29
480 평론 제 3장 에덴시학 이영지 0 3405 2019-03-29
479 평론 에덴시학 2장 이영지 0 3457 2019-03-29
478 평론 홍문표 에덴시학 연구 보관용 -제 1장 이영지 0 3904 2019-03-29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