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지 기독교시학
우리사랑시학
우리 사이는 너와 나와 긴밀한 사이 일 때 우리 사이라 합니다. 더 나아가 너와 나와 그리고 그대가 합하여 우리 사이가 됩니다. 우리민족은 모두모두 이 우리라는 말을 좋아 합니다. 마음이 한 곳을 향하여 나아가는 우리들이 힘을 합할 때 우리사이가 됩니다. 그만큼 단결을 전제로 한 사이는 우리사이입니다.
이 우리는 입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우리 우리입니다. 하나님은 히브리어로 하나님 엘로힘입니다. ‘엘은 힘을 가지고 있다 뜻입니다. 이 힘은 평화와 화목과 우애를 돈독히 하는 사이일 때만 우리가 됩니다. 이 ‘우리’ 라는 말은 다른 나라에는 없습니다만 유일하게 연관 지을 수 있는 나라가 히브리민족이 사용한 원어에서 발견되어 집니다. 우선 ‘우리’라고 가장 많이 번역된 시편 137편은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입니다. 히브리노예들이 똘똘 뭉쳐 지난날의 자신들의 포로 기억을 떠 올리며 입을 모아 부르는 노래입니다. 노래는 입으로 부릅니다.
시편 137편에서 우리는 12번 반복합니다. 우리는 공통단체로서의 이스라엘 백성인 우리가 한 강변도 아니고 여러 강변에서 모두 울었도다로 시작됩니다. 우리는 아주 울음에 박히어 우리는 늘 잊지 않고 보자고하며 하나님 위하여 우리가 켜놓아 폈던 수금을 이제는 켜지 않으려 버드나무에 걸어버렸습니다.
우리를 강제로 사로잡은 이가 우리에게 강제로 시켜 비틀려진 우리가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강제로 우리에게 시온성의 노래를 하라 합니다. 우리에게 시킨 내용은 시온성아 훼파하라로 노래 부르라입니다. 우리에게 강권적으로 노래 부르라입니다. 이 우리는 시편 137편에서 12회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라는 말이 12회나 반복되는 첫구는 요셉을 기본형으로 하는 ‘우리가 앉아서’입니다. 노래를 부르는 자세는 앉아서의 ‘야솨브누’입니다. 이 언어 끝을 보면 ‘누’가 있는데 이 ‘누’가 우리의미의 문법법칙이 적용됩니다. 우리의 공동체들은 하나님 안에 단단히 잘 붙어 있는 ‘누’ 발음의 ‘우리’입니다.
노래 부르며 우리는 하나님 품안에 안기어 있어 하나님 집안에 앉아있는 자세입니다. 앉아 있는 이 고정적인 이미지의 ‘요새브누’ 발음은 요새 부는 바람입니다. 우리가 지금 하나님의 바람이 부는 대로 이끌리어 있습니다. 이 뜻은 하나님의 뜻이 있어서라는 의미입니다.
이 의미의 연장선에 육신의 예수님의 아버지 요셉이 있습니다. 아내 마리아가 예수님을 임신하자 요셉은 혼외 임신을 탓하지 아니하고 안전한 출산을 위해 멀리 예루살렘으로 까지 데려가 아기 예수를 낳도록 합니다. 하늘과 땅을 지은 자는 하나님과 연관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우리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선물로 받고 이를 시로 찬양할 수 있어서입니다. 노래부를 수 있어서입니다. 전능자를 소망하는 사역으로서의 하나님의 일을 노래 부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벨론의 포로로 있는 동안의 일 헛것인 우상, 생기가 없는 우상에 대하여 그들이 아무리 강권적으로 요구하더라도 히브리 노예들은 노래 부를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바벨론의 포로로서 노래부르라고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신앙인의 괴로움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에게 생기를 넣을 때 힘줄과 살과 가죽으로 덮인 다음에 생기가 나 생명이 생기게 하셨고 죽은 자에게 생기가 들어가게 하시는 만군의 여호와 하나님이시기에 그 분의 아드님이 예수님이시기에 그 분이 아니고는 노래를 부를 수 없습니다.
다른 우상을 섬기지 말라는 대화체 형식으로 된 ‘내가 네게’는 ‘파아나’의 파가 제시하는 입의 중요성입니다. 더 나아가 물고기 의미의 ‘나’는 영속 의미로 유월절 ‘페세흐’ 역시 입 으로 시작되는데서 이 입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입과 관련한 하나님의 명령에는 ‘너는 나 외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로 말씀하십입니다. 하나님의 음성으로 들려주는 입의 강력함은 우상숭배를 ‘너는 하지 말라‘보다 더 강한 ‘너는 할 수 없느니라’입니다. 하나님의 이토록 강력한 강권력은 생명을 누리는 행복한 우리 생애때문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속하여 우리가 다른 신을 섬기지 아니하는데서 우리의 삶은 다른이와 구별됩니다. 이 오묘한 일의 히브리어 수치는 ת(400) + (200) + (400) + (60) + (50) + (5)입니다. 철자 수치(letter value)는 4 + 2 + 4 + 6 + 5 + 5 =26으로 여호와의 수치 ה(5) + (6) + ה(5) + (10) =26과 동일합니다. 나 이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이 여호와 의미와 동일시됨으로서의 하나님의 절대명령 율법입니다. 철자 수치 ה(5) + (6) + ה(5) + (1 + 0) =17의 신성수와 아울러 절대영역이 됩니다.
생명은 언어적 접근으로는 ‘예히’에서 야훼, 혹은 하나님의 옳은 손, 오른 손입니다. 하나님의 절대영역은 ‘예히’를 3회 반복리듬합니다. 강화이미지로 사람의 숨 쉼은 하나님에 의하여 생명을 받는 자에 대힌 생명 모티브입니다. 진행형 ‘예히’는 우리가 절대복종 할 때 ‘예이’하는 발음입니다. 생명을 주는 자의 ‘나는 스스로 있는자라’시는 데서 절대자는 그를 믿고 따르는 사람과 언약 하시었습니다.
창세기 1장에서 32회째까지 되다가 2장 1절에서 ‘일을 마치매’라와 더불어 33회째가 예수님 나이에 대한 상징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해 일곱 번이나 맹세한 하나님의 언약입니다. 그 표시는 그가 제시하는 신성수로 1계명이 10계명 중 첫째 계명이 아닌 10계명 전체 1계명임을 제시합니다. 너희는 나 이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입니다.
십계명의 1계명을 은 서수개념이 아닌 하나의 뜻으로 하듯이 내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는 바로 하나님 ‘나’의 명령이므로 생명을 주시는 자의 절대명령을 어길 수 없습니다.
사실 우상은 생기가 없고 뼈들에게 생기를 넣어 주지 못함으로 피리를 버드나무에 건 것입니다. 하나님의 신은 옷니엘이 사사가 될 때 여호와의 신이 임하였으며 기드온 · 입다 · 야하시엘 · 사울이 새 사람이 될 때 · 이사야에게 지혜와 총영의 신 여호와의 신이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