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신앙영웅 신화의 장
홍문표 시인이 서정성을 시에서 표면화하면서도 모더니즘 계열이 되는 것은 첫 시집 『수인(囚人)와 바다』의 첫 1부는 12작품을 통하여 12회의 언어건축을 긴밀히 하는데 있다. 그러면서도 신앙영웅 신화를 쓰게 되는 근거는 성경에서 물을 건넌 백성들이, 12지파로 나누어지는데 있고 또 강의 근원이 되는 에덴동산에서 네 강의 12 물길(사 12: 3)로 각각 사역을 담당하는데 있다. 하나님 백성들의 12 물길은 서로 하나님의 일을 담당하면서 12물길을, 따라 사방으로 흩어지며 하나님일을 하는데 있다. 이 길은 신앙인의 길이다.
그리고 이른바 모더니즘 시로 불리우는 시인들 이상과 김지향과 홍문표 모두 왜 이 12의 신성수를 사용한다.
신앙의식의 마스크라고 할 수 있는 12구도는 에덴을 향하여 길 떠나는 신앙영웅의 필수품인 동시에 문학사의 중요한 자리를 잡고 있는 모더니즘 시로서의 특징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이 12회 분산과 연결은 모더니즘적 언어건축이기 때문이다.
시를 통하여 숨쉬는 홍문표의 시집 『수인(囚人)와 바다』 는 1부의 열두 번째 작품에서 시어 “나무,” “나무,” “나무,” “나무”로 꼭대기에 세워지는(「워싱턴 가는 길」) 언어건축을 세운다. 이때의 나무는 처음에 그 싹내기로 시작되었다.
⓵ 1990년 11월 창간
창조문학은 1990년 11월 20일 군사정권의 언론 출판 통제가 풀리고 문인정부가 본격화 되던 시가, 홍문표 박사는 명지대 학교문예창작과를 설치하면서 민족문학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계간 순수 종합 문예지로 창간하였다.
영원한 창조정신
·「창조문학」은 하나님의 창조섭리, 문학의 창조정신, 근대문 학을 주도했던 창조지를 생각하면서 창조정신으로 새로운 시대, 새로운 문학을 열어가는 문학지를 자처한다.
다양한 비평담론의 창작
· 「창조문학」은 문학의 다양한 비평담론을 통하여 문학의 이 론을 확고히 하고 그러한 바탕 위에 문학의 창조작업이 이루 워지는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문학지다.
문학인구의 대중화
· 「문학」은 몇몇 소수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두가 공유한 많 은 사람들이 해야하는 인류의 유산이다. 문인의 서열을 정하 기 보다 가능한 문학을 사랑하고, 창작하여 문화적국력을 높 이는데 기여하는 것이 창조문학 정신이다.
품위 있는 문학지
· 문인은 최고의 지성이고 양심이고 고상한 교양인이다. 그러기 에 창조문학은 편집의 품격, 작품의 품격, 문인의 품격을 함 께 추구한다.
-「창간사」에서
⓶ 창조문학사 대표 홍 문 표 박사
연구 · 교육 · 창작 · 출판으로 행동하는 문학인
□ 창조문학사 대표 홍문표박사는 충남 부여에서 출생, 명지대와 성대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 고려대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서울기독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관동대학교수, 미국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서울기독대학교, 국 제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슈,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예 창작학과주임교수, 인문대학장, 예체능대학장, 오산대학교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명지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 시인이자 비평가인 홍교수는 「시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시집 『수인과 바다』 『지상의 연가』 『나비야 청산가자』 『당신이 당신 일 수 있다면』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수필집 『지상의 선택』 평론집 『한국문학과 이데올로기』 『에덴의 시학』 『상생 의 문학과 구원의 문학』 등이 있다.
□ 대표적인 문학저술로는 『현대문장론』 『문학개론』 『현대시학』 『시창작원리』 『시어론』 『한국현대문학사 Ⅰ. Ⅱ』 『현대문학비 평이론』 『한국문학논쟁사』 『기독교문학이론』 『문학설교학』 등 이 있다.
□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한국시문학회, 한국크리스천문학가협 회, 한국문예비평학회 회장을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문인협회 고문, 한국기독교문학선교협회, 한국창조문학가협회 회장을 받 고 있다. 상훈으로는 조연현문학상, 심연수문학상, 한국비평가 상, 한국크리스천문학상, 동포문학상, 대통령홍조훈장 등을 수 상했다.
□ 종합문예지 계간 「창조문학」과 「말씀과문학」, 문학학술지 「한 국문예비평연구」를 창간하여ㅛ 문학의 창작, 연구, 발표의 기틀 을 마련하여 최근에는 한국초유의 「한국문인교회」를 설립, 기 독교문인들을 위한 새로운 예배문화도 모색하고 있다. 현재 한 국문인교회 담임목사이다.
홍문표의 고향은 홍문표는 부여가 고향이다. 「근초고왕」 백제왕의 일생을 그린 드라마는 왕을 어라하라 하였다. 히브리어에 엘라하가 있다. 부여가 고향인 홍문표의 근본뿌리에 관련된 어라하 성격이 들어난다. 홍문표는 문학단체를 이끈다.
이러한 싹내기로 시작된 한국창조문학의 일은 성경에서 א(알레프)인바 하나님의 법을 싹내기 시작한 이후 진행형이다.
(3) 나날의 숨 쉼/ 그 비평서로 하여
홍문표 비평가의 나날은 거의가 다른 시인들의 시집들을 비평하는 일에 몰두하였다. 하나님이 홍뮨표비평가를 지극히 사랑하시어 지금도 많은 시인들의 시를 해설한다. 시에서 생명이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시인들의 살아 있음을 찾아 나선 긴 나날이다.
홍문표 비평가의 삶은 히브리어의 숫자 100이 의미하는 얌밈의 온 생애의 나날 전부이다. 그리고 천국을 들어가는 의미의 어려운 바늘 귀 ק(코프)의 삶을 자처한다. 바늘귀로 뚫고 천국을 향하여 불같은 삶을 살아온 여러 날은 하나님이 명하신 모든 도를 행할 때에 장구하게 되는 날이다.
홍문표 비평가의 성격은 온유하다. 곧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아니 하며 얻어지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여러 날 동안의 사는 날이다. 이 날은 너희가 너희 형제를 떠나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말씀을 오늘날까지 지킨 날의 축복이다. 그 증거는 무명의 시인들이 쓴 시를 일일이 육필로 비평하여 주면서 시가 살아나게 하였다.
홍문표 비평가의 해설제목들:
1992
‘사랑과 구원의 영원한 연가’ 『뜨거운 우울』(권오욱, 1992)
‘고향, 그 원초적 향수의 시학’ 『네가 우는 이 순간만은』(1992)
1993
‘한 여성의 위대한 길’ 『꽃가마 언덕길』(1993)
‘영혼의 자유와 진동하는 언어’ 『소리의 계단위에서』(1993)
‘화해와 통일의 절절한 언어’『통일촌에서 하룻밤을』(최일환, 1993)
‘소멸과 생성의 변증법’ 『바람불고 비오는날 내영혼이 그대에게』(1993)
1994
‘순수한 서정시의 미학’ 『한번은 나부끼는 바람이고 싶다 』(1994)
‘그리움과 사랑의 그 신비한 발성 ’ 『침묵으로도 다하지 못하는 그리움』(1994)
‘시조의 조형적 실험’ 『영혼이 깨어나는 아침꽃길』(1994)
‘연꽃 속에 빛나는 불심의 시학’ 『연꽃 속의 작은 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