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노천명 시인의 창변(窓邊/매일신보사, 1945)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9290 등록일: 2013-12-12
노천명 시인의 창변(窓邊/매일신보사, 1945)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관심시어 20)
인간계(7): 목사, 머리, 사나이, 조라치, 향단, 여신, 선인
동물계(1): 여우
물질계(12): 학림사, 교회당, 회당직이, 전도사, 하늘, 강도상, 촌분, 초립, 다홍치마, 태양탑
2. 하향적 이미지(16)

인간계(6)
인간: 어머니(2), 키, 내인, 거렁벵이, 걸인

물질계(10)
자연어(1): 눈보래,
문명어(9): 도구, 집시, 상여, 종, 티, 무덤, 동냥치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117)
인간계(23)
인간: 언니(2), 사람(2), 아이들(2), 처녀(2), 어머니, 신부, 애기(2), 눈, 바보, 여인(5), 몸, 게집, 쟁이
고유명사(2): 춘향, 온달
동물계(9)
날짐승(5): 비달기, 해연(海燕), 종달이, 학,
지상동물(5): 사슴(4), 독개비
식물계(33)
열매(7): 수수엿, 수수경단, 백설기, 대추송편, 인절미, 쌀, 고추
초목(26): 흰나리꽃, 산채화, 꽃술, 청매래순, 향나물, 온닙나물, 떡갈나물, 참나물, 목화꽃, 풀, 장미, 메밀꽃, 조팝, 수수엿, 함박꽃 덤불, 찔레순, 감나무, 수선, 매화, 옥수수, 호박꽃초롱,
물질계(55)
자연어(20): 하늘(2), 별(9), 포도주, 하늘, 담, 길, 무지개, 땅, 옥, 향, 구름, 은하, 보라, 돌,
문명어(35): 담, 물방아, 공원, 향수, 옥지환, 옥가락지, 금방맹이, 고을, 나뭇집, 청실, 홍실, 마슬, 남창, 책(2), 붓, 은전금전, 상, 활
2) 이성유추(10)
인간계(4)
인간: 엄마, 아버지, 형제, 장군

물질계(6)
자연어(1): 눈
문명어(5): 잔, 활, 창(2), 불빛

3) 경험유추(131)
인간계(45)
인간(29): 할머니, 기집아이, 언니(2), 새댁, 아이, 이도령, 삿도, 아이, 할아버지, 딸, 어머니, 소년, 구경군, 아주머니, 소녀(2), 오라버니, 씨름군, 몰군색시, 여인(3), 도련님, 처녀, 부인, 중년신사,
신체(11): 다리, 뺨, 손, 머리, 몸, 눈, 코, 다리, 가슴, 팔
고유명사(5): 칠성이, 춘향, 향단(3)
동물계(11)
날짐승(4): 꿩(2), 종달새, 날개
지상동물(7): 잰내븨, 고양이, 노새, 삽살개, 참새, 황계
벌레(1): 버레)
식물계(32)
열매(5): 산딸기, 도토리, 능금, 울파주박, 대추, 밤
초목(27): 황국, 깜부기, 보리, 수숫대, 무릇, 접중화, 뻑국새, 장구체, 범부채, 철쭉꽃, 마주채, 칙순, 프라타나스, 단풍, 기룩이, 도라지, 체니, 곰방대, 곰취, 참두릅, 개두룹, 가랑닙, 창포닢, 라일락, 살구꽃
물질계(43)
자연어(17):어름, 산(4), 눈, 비, 이슬, 흙서리, 하늘(2), 해, 밭(2), 벌판, 바람, 은하수,
문명어(25): 낫, 차, 달구지, 호랑담뇨, 나무판자, 가마, 급행열차, 차일, 멍석, 고가(2), 북, 마당, 람프불, 포장, 집신, 웃구들, 쇠수랑, 당홍당기, 고담책, 수건, 마당
고유어(1): 아라버마
노천명의 시는 김현승의 기독교적 관심이나 정완영의 불교언어등을 택하지 않고 아름다운 식물들의 이름을 많이 사용하였다.
상승적 이미지의 관심시어(20)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어 인간계에 목사와 여신, 선인등이 등장하며 물질계(12): 학림사, 교회당, 회당직이, 전도사, 하늘등을 보이어 교회계통에 관심이 있었음을 보인다. 상승적 이미지(관심시어 20)회는 인간계(7), 동물계(1), 물질계(12)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7 + 1 + 12=20명사시어를 사용하였다.
하향적 이미지 명사시어는 16회를 사용하면서 인간계 6회로 인간: 어머니(2), 키, 내인, 거렁벵이, 걸인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물질계는 10회로 자연어 1회에 눈보래와 문명어 9회로 도구, 집시, 상여, 종, 티, 무덤, 동냥치(2)회이다. 노천명의 하향적 이미지의 인간계(6), 물질계(1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6 + 10=16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순수유추는 117회를 사용하였는데 인간계 23회로 인간: 언니(2), 사람(2), 아이들(2), 처녀(2), 어머니, 신부, 애기(2), 눈, 바보, 여인(5), 몸, 게집, 쟁이와 고유명사: 춘향, 온달이 사용되었다.
동물계는 9회로 날짐승 5회인데 비달기, 해연(海燕), 종달이, 학과 지상동물 5회로 사슴(4), 독개비가 사용되었다.
식물계에는 33회로 열매가 7회로 수수엿, 수수경단, 백설기, 대추송편, 인절미, 쌀, 고추이며 초목이 26회로 흰나리꽃, 산채화, 꽃술, 청매래순, 향나물, 온닙나물, 떡갈나물, 참나물, 목화꽃, 풀, 장미, 메밀꽃, 조팝, 수수엿, 함박꽃 덤불, 찔레순, 감나무, 수선, 매화, 옥수수, 호박꽃초롱이다.
물질계는 55회로 자연어에20회로 하늘(2), 별(9), 포도주, 하늘, 길, 무지개, 땅, 옥, 향, 구름, 은하, 보라, 돌과 문명어에 35회로 물방아, 공원, 향수, 옥지환, 옥가락지, 금방맹이, 고을, 나뭇집, 청실, 홍실, 마슬, 남창, 책(2), 붓, 은전금전, 상, 활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 총 107회 사용하였으며 인간계 23회, 동물계는 9회, 식물계에 33회, 물질계는 55회이다. 인간계(23), 동물계(9), 식물계(33), 물질계(55)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23 + 9 + 33 + 55=117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는 총 10회로 인간계 4회로 인간: 엄마, 아버지, 형제, 장군이며 물질계의 6회인 자연어 1회 눈과 문명어의 5회인 잔, 활, 창(2), 불빛이다. 따라서 이성유추에는 총 10회밖에 안되면서 인간계(4), 물질계(6)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4 + 6=10 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유추는 총 131회인바 인간계 45회로 인간이 29회인 바 할머니, 기집아이, 언니(2), 새댁, 아이, 이도령, 삿도, 아이, 할아버지, 딸, 어머니, 소년, 구경군, 아주머니, 소녀(2), 오라버니, 씨름군, 몰군색시, 여인(3), 도련님, 처녀, 부인, 중년신사이고 신체에 11회로 다리, 뺨, 손, 머리, 몸, 눈, 코, 다리, 가슴, 팔이고 고유명사 5회로 칠성이, 춘향, 향단(3)이다.
동물계는 11회로 날짐승(4): 꿩(2), 종달새, 날개이며 지상동물7회로 잰내븨, 고양이, 노새, 삽살개, 참새, 황계이고 벌레 1회에 버레가 사용되었다.
식물계는 32회로 열매 5회인바 산딸기, 도토리, 능금, 울파주박, 대추, 밤이며 초목에 27회 황국, 깜부기, 보리, 수숫대, 무릇, 접중화, 뻑국새, 장구체, 범부채, 철쭉꽃, 마주채, 칙순, 프라타나스, 단풍, 기룩이, 도라지, 체니, 곰방대, 곰취, 참두릅, 개두룹, 가랑닙, 창포닢, 라일락, 살구꽃이다.
물질계는 43회로 자연어 17회인바 어름, 산(4), 눈, 비, 이슬, 흙서리, 하늘(2), 해, 밭(2), 벌판, 바람, 은하수이고 문명어에 25회로 낫, 차, 달구지, 호랑담뇨, 나무판자, 가마, 급행열차, 차일, 멍석, 고가(2), 북, 마당, 람프불, 포장, 집신, 웃구들, 쇠수랑, 당홍당기, 고담책, 수건, 마당이며 고유어 1회로 아라버마이다.
경험이미지는 인간계(45), 동물계(11), 식물계(32), 물질계(43)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45 + 11 + 32 + 43=131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노천면 시인은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20개와 하향적 이미지어 16개와 유추적 이미지어 258(순수유우 117 + 이성유추 10 + 경험유추 131)로 총 명사시어를 258회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 20+ 하향적 이미지 16 + 유추적 이미지 131=258회의 명사시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8%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6%,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86%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41%, 이성유추에 3%, 그리고 경험유추에 42%의 관심을 보인다. 노천명은 상승적 이미지 곧 묵시적 신비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시도 비교적 순수유추메 머물러서 일상의 경험보다는 신비함과 순수함을 추구하였다.
댓글 : 0
이전글 하나님을 이긴 야곱
다음글 3. 시조는 왜 초 · 중 · 종장으로 나뉘어 져야 하나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357 평론 아브라함 이영지 0 9182 2014-01-13
356 평론 야곱의 우물 이영지 0 7528 2014-01-13
355 얍복강 가에서 다리를 절며절며 - 창 32:21-31- 웃음의 선물... 이영지 0 9139 2014-01-11
354 평론 모더니즘 계열의 서정시인/논문작성이영지 이영지 0 8965 2014-01-11
353 평론 사랑의 시 이영지 0 9198 2014-01-11
352 시조 - 이영지 꽃등 이영지 0 9221 2014-01-05
351 시조 - 이영지 어디까지 와았지 이영지 0 8871 2014-01-05
350 시조 - 이영지 숨었니 안숨었니 이영지 0 9313 2014-01-05
349 - 이영지 꽃들의 발바닥 이영지 0 8915 2014-01-05
348 시조 - 이영지 그리움 그거하나로 이영지 0 9047 2014-01-05
347 시조 햇빛뺨 이영지 0 8637 2014-01-05
346 평론 이육사의 육사시집(서울; 서울출판사, 1946) 시연구 이영지 0 8752 2014-01-03
345 평론 홍문표 시집 나비야 청산가자(서울: 창조문학사, 1992) 시어이미... 이영지 0 9532 2013-12-30
344 평론 물 속에서 살아나기 이영지 0 9046 2013-12-28
343 시조 기차를 타고 간다 이영지 0 7984 2013-12-22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