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왜 한국시조가 우수한가 역사를 5000년이나 가지고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대한민국 뿐이다. 그럼으로 이에 맞는 시조의 전통을 가진 이유가 있다. 그것은 5000년 동안의 한국정서와 맞았기 때문이다. 고금을 통털어 뚜렷한 동일성을 가지는 시조는 최행귀의 역가서문에 기록된 향가의 향어의 3구 6명에 대하여 시구강사 마탁어오언칠자(詩構唐辭 磨琢於五言七字) 가배향어 절차어삼구육명(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절차(切磋)나 마탁(磨琢)이란 퇴고에 퇴고를 거듭한다는 표면적 의미이지만 이 뜻을 시조와 연관시킨다면 오랜 역사 속에 다듬어진 민족적 생리에 맞는 시조의 심층구조임을 알 수 있다. 3구 6명에서 구를 위한 이해는 우선 강희자전에서 구(句)항 왕편조에 언어장구야(言語章句也)라 하였다. 따라서 구에 대한 이해는 한 뜻의 종결어미로 끝맺어 있는문절을 말하며 3구는 그 대무에 세 개의 종결어미를 가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구와 장은 같은 내용상의 같은 가치관계로 보아지고 3구와 3장은 같은 뜻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학설로는 이병기가 3구를 3자로, 서수생은 3구를 3언으로, 이근영은 뜻의 단위 2개가 합한 것, 김상선은 문으로, 지헌영은 구는 장으로, 이종출도 같은 견해이다. 유창균도 3구는 3장을 뜻한다는 같은 견해를 보인다. 따라서 향가는 우리말 노래이고 이 노래라는 말이 리듬을 가진 의미로 하여 언어 나열이 아니라 아름다움을 리듬을 더한 시가 된다. 그것은 신라, 고구려, 백제, 고려, 조선 현대에까지 연결되는 기본 구조이며 현재의 시조가 되나. 3장은 3단 구조이고, 12분절로 되어 있다. 초장의 1 · 2 · 3 · 4와 중장에 1 · 2 · 3 · 4와 종장에 1 · 2 · 3 · 4의 총 12분절로 이루어진 설명은 자수, 음절, 음보, 의미의 리듬 관계 어느방향으로든 설명이 가능하다. 이것은 향가의 1 · 2구가 손단위로 묶이고, 같은 방법으로 3 · 4구가, 소단위로 묶이면서 이 소단위의 의미구조는 단순한 배열이 아닌 호응관계와 대단원으로 묶인다. 5 · 6구와 7 · 8구가 다신 한번 호응관계로 묶이면서 한국시가의 율격구조인시조가 된다. 이것은 전통시가 필요조건으로 하는 시율의 구성원리인 4대 법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즉 시조는 ㄴ4구 복구조이면서 대립성을 지시하는 정격구조이다. 그리고 종장의 3음절 고정탄구는 대립된 극단의 관계, 혹은 상응의 좋은 결과를 합치는 의미의 정격음조 및 정격음수로 된다. 이것은 우리들자신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우리민족의 생활감정이 그 바탕이 된 서정의 예가 된다. 이 감탄적 서정의 세계를 음 · 양의 합으로 보든 이(理)와 정(情)의 대극적인 합일이든 모두 반대의 두 세계가 합쳐지는 우주적 보편성에 기인하고 있다. 이 소리는 하늘에 닿아 있고 그 뜻도 그러하기 때문에 이 대립의 합이 되는 자리는 종장의 첫 분절의 자리이며, 이 절대 의만큼의 대등되는 끝 분절은 생략될 성질이 있다. 이러한 원리에 입각하여 종장의 2분절과 3분절도 대립관계가 성립됨을 유추할 수 있다. 초장과 중장은 같은 등가관계, 혹은 대립관계, 그리고 유사관계가 성립되어 있다. 이 관계는 종장에서 어느 한 장쪽으로 이으거나 대립의 결과를 알리면서 마음의 정서를 나타낸다.혹은 어느 한쪽으로 정서를 변화시켜 자아화하게 되는 장이다. 구체적인 결정은 종장 초구 3자에 압축시키는 그야말로 3자의 절대불변의 시조특징이 존재하게 한다. 성경에서도 이 3위의 자리는 불변의 자리이다. 이 3자는 다양한 상싱성과 함께 완성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대한 설명은 2 · 3분절에서 보충설명되면서 이들 관계 역시 대립이거나 상응이거나 합하는 그야말로 절제의 시조원리를 지닌다. 따라서 종장 끝구는 종장 첫구가 절대적인 만큼 이에 비례하는 아주 대립, 혹은 상응, 그리고 의미를 절대화한 만큼의 무의미한 리듬으로 놓이어 허사적 리듬이 된다. 따라서 시란 절제의 의미가 특징이기에 한국시조는 그 절제의 특징을 지니는 우수성이여 대표적인 시조는 황진이 시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