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문재학 시인의 작품읽기

문재학 시인
김치 예찬 2
작성자: 문재학 조회: 2951 등록일: 2022-01-21

김치 예찬 2

소산/문 재학

 

생각만 해도 군침이 감도는

민족고유의 김치 향기에

선조들의 고귀한 지혜가

살아 숨 쉬고.

 

기나긴 엄동설한(嚴冬雪寒)에

결코 질리지 않는

밑반찬으로 자리 잡아

끼니마다 입맛을 돋우네.

 

온갖 기초양념으로

수많은 종류의 화려한 변신

다양한 용도로 빛을 발하며

풍성한 건강 지킴이로

자손만대(子孫萬代)에 이어지리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면서

각광(脚光)을 받는

김치 종주국이 자랑스러워라.

 

 

핑 클 22.01.15 22:32

 밥도둑 김치를 사랑하는 김치예찬론  이네요
세계 어느나라와도 비교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자존심입니다~~

 

갈잎풍경 22.01.17 12:23

아무리 좋은 음식도 김치가 빠지면 상차림이 허술해 보입니다.
육류에도 김치를 곁들이면 그 맛이 그만입니다.
우리식품 우리김치 선인들의 후덕으로 입맛 살리고 건강 살리는 최고의 우리 김치를 사랑 합니다.
김치예찬 좋은 글 즐겁게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노을풍경1 22.01.17 14:41

우리 민족은 김치가 없으면 안되지요
요즈음 춥고 나가기 싫을때 김장 김치 한포기면  여러가지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어어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김치예찬 속에 저역시 공감하면서 머물다 갑니다 늘 행복 하십시요~

 

道公/서명수 22.01.15 11:45

 우리나라 김치는 어디에 내 놓아도 일품입니다.
김치 없이는 밥을 못 먹는 우리네 입맛이 세계에서도   각광 받고 있지요.
김치 예찬에 대한 소중한 詩   감사 드립니다

 

소당/김태은 22.01.15 17:36

우리나라의 고유인 맛조응 김치예찬  시어가 아주 멋집니다 . 건안하시죠?!
언제나 변함없이 성실한 소산시인 수필가님 !
새해엔 더욱 더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雲岩/韓秉珍 22.01.15 12:03

소산 선생님 토요일 점심시간 김치 예찬 좋은 글 잘 감상했습니다

오후에도 추운날씨에 건강유의 하시고 코로나19 조심하시고 행복한 시간 보내십시오

 

박정걸 22.01.16 10:52

하하하 ㅡ
김치없으면 못 살아  김치없이 무슨 맛으로 밥 먹을까
수많은 김치 사랑  띵호왕~띵호왕~   우리의 맛 우리의 전통김치 최고 입니다ㅡ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ㅡ방긋

 

Peter hwang 22.01.16 12:40

김치 예찬.김치는 우리 선조때부터 먹거리로 없어선 않되는 음식,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한국많의 자랑거리..잘 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소산 문재학 시인님 늘~건강하세요.

 

포도마을 22.01.16 22:05

김치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아주 귀중한 음식입니다
김치 예찬에 감사합니다

 

진춘권 22.01.16 15:23

김치 예찬. 좋은 글 감사한 마음으로 즐감하고 나갑니다

수고하여 올려 주신 덕분에
편히 앉아서 잠시 즐기면서 머물다 갑니다 항상 건강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이뿌니 08:45 

옛부터 김치는 반양식 이라고 했죠
깊은겨울 하얀 쌀밥에  김치 한가지면 최고에 반찬 입니다

 

진오 22.01.17 19:29

김치가 없으면 밥을 못 먹지요.
꿀맛같은 김치 글 잘 보고갑니다.    고맙습니다.

 

산월 최길준 22.01.17 14:54

글로벌 시대를 맞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면서
각광(脚光)을 받는
김치 종주국이 자랑스러워라.
....김치 예찬에 한표 던지고 갑니다.

댓글 : 0
이전글 세상 인심
다음글 마음의 그림자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334 황혼 열차 문재학 3068 2021-01-02
333 행복한 집 문재학 3404 2021-01-02
332 삶의 멍에 문재학 3230 2021-01-02
331 눈빛 사항 문재학 3121 2021-01-02
330 물안개 문재학 2574 2021-01-02
329 가우디 성당 문재학 2883 2021-01-02
328 비련 문재학 3301 2021-01-02
327 동백섬 산책 문재학 2852 2021-01-02
326 친구 생각 문재학 3010 2021-01-02
325 강변의 추억 문재학 3200 2021-01-02
324 행복의 원천 문재학 2903 2021-01-02
323 가뭄 문재학 3221 2021-01-02
322 금빛 그리움 문재학 3244 2021-01-02
321 세월의 강 문재학 3249 2021-01-02
320 보릿고개 문재학 3365 2021-01-02
319 비내리는 항구 2 문재학 2970 2021-01-02
318 이팝나무 꽃 2 문재학 2867 2021-01-02
317 추억에 젖는 밤 문재학 3167 2021-01-02
316 애수의 사랑 문재학 3652 2021-01-01
315 삶의 빛 문재학 3219 2021-01-01
314 젊은 날의 추억 문재학 2762 2021-01-01
313 약속 2 문재학 2872 2021-01-01
312 신종코로나 문재학 2692 2021-01-01
311 문병 단상 문재학 3185 2021-01-01
310 인생 노트 문재학 3083 2021-01-01
309 마음에 피는 꽃 문재학 3338 2021-01-01
308 봄기운 2 문재학 2649 2021-01-01
307 마음의 창 문재학 3178 2021-01-01
306 그리운 고향 지금은 문재학 3027 2021-01-01
305 진눈깨비의 비애 문재학 2862 2021-01-01
304 정초의 보름달 문재학 2766 2021-01-01
303 겨울밤 소묘 3 문재학 2620 2021-01-01
302 세월의 강 2 문재학 2545 2021-01-01
301 제야의 종소리 문재학 3771 2020-01-04
300 사랑. 그 사랑 문재학 4185 2020-01-02
299 시련 2 문재학 3851 2019-12-22
298 추억의 골목길 문재학 4178 2019-12-09
297 임의 빈자리 문재학 4084 2019-12-04
296 들국화 3 문재학 4012 2019-11-21
295 애수에 젖는 가을밤 1 문재학 3578 2019-11-08
294 분노 문재학 3760 2019-11-01
293 우정의 꽃 문재학 4066 2019-10-24
292 칠색산 문재학 3759 2019-10-24
291 월아천 문재학 3711 2019-10-24
290 삭제된 게시물 입니다. 문재학 0 2019-10-24
289 꿈길에 어린 고향 문재학 3334 2019-09-10
288 삶은 번뇌의 연속 문재학 3524 2019-09-10
287 인연은 삶의 꽃 문재학 4154 2019-09-10
286 가을의 문턱 문재학 4006 2019-08-30
285 한번뿐인 인생 문재학 4285 2019-08-19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