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문재학 시인의 작품읽기

문재학 시인
참을 인
작성자: 문재학 조회: 2520 등록일: 2021-03-13

참을 忍

소산/문 재학

얽히고설킨 세상살이에

분기탱천(憤氣撑天) 할 일이

그 얼마나 많은가

 

찰나(刹那)같은 인생살이에

참지 못한

욱하는 열불로

남는 것이 무엇인가

 

평생후회로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살아야 하는 일도 있으리라.

 

분노와 증오. 탐욕. 울분 등등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것을

깊고 깊은 심호흡(深呼吸)

참을 忍자로 다스리면

 

평온(平穩)한 마음의 호수에

환한 미소가 어리는

행복이 넘쳐흐르리라.

 

 

지슬 美 21.03.09 11:02

칼에다 마음을 정성껏 꼭 찝어 놓듯이 참고 참으면 忍
세상이 편해 집니다 오늘도 변함없이 주신 글에 넘 고맙습니다
마음에 꼭 새겨둡니다 고맙습니다~


소당/김태은  21.03.09 09:43

一 時 忍 耐 免 大 患 =일 시 인 내 면 대 환 

참을 인 참 어렵지요 도자기 작품이 소산 시인님 소장품 인 것 같습니다. 멋지고 아름답습니다.저도

부채에 忍 자 써서  컴퓨터 위에 걸어놓고 매일 보고 욱"하는 성격을 고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천성은 고치기 힘든 것 같아요 ㅎㅎ  죽는 날 까지 함 고처보도록 노력 해 보겠습니다


 나만의 공간  21.03.09 19:08

분기 탱천 새로운 단어를 공부하였습니다..그런일이 없이 살아온 사람은 매우 드물것이라 생각을 합니다...이제는 그런일들은 과거에 있었던 일이고 이제는 늘 평온함 속에 행복이 있어야 겠지요....좋은글 감사합니다..늘 배웁니다..감사합니다..


노을풍경1 21.03.09 14:36

우린 살아 가면서 분을 참지 못해  실언을하고 상처를 주며 살아 가기도 하지요
조금만 참았으면 서로 상처가되는 일은 없을텐데 하고는  반성하을 하면서도요
조금만 참으면 내마음이 그렇게 평온해지는 것을 모르고 말 입니다   고운 시어에 함께하고 갑니다
소산님! 늘 행복 하십시요~


옹성 조봉현 21.03.10 08:22

참을인자 셋이면 살인도 면한다는 옛말처럼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한번 생각 하고 행동으로 옮긴다면
참 좋으련만 우리 인생 살이가 힘들어서조급함을 참지 못하는게 아닐까 생각 해 봅니다.
이글을 읽고 다시 한번 생각 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산님 감사 합니다


장은영 21.03.09 10:12

인간의 탐진치(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치는 세 가지 해독, 탐()·진()·치().)를 누그러뜨리고 빈 마음으로 오늘을 감사하며 후회없이 살고 싶습니다.
인생의 속성으로 인한 고난을 위로하는 시 잘 감상했습니다


꿀벌 21.03.09 23:40

복잡하고 어지러운 세상 참을 忍으로 순간만 참으면 큰 화를 면하고 평온해지리라 생각됩니다
명시글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따뜻한 봄 즐기시고 행복하세요~~


소우주 21.03.09 10:4

4참을 인을 실천 하면서  평온한 마음의 호수에  환한 미소가 어리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思岡안숙자 21.03.09 23:35

참을 인(忍)자는 칼날(刃)자 밑에 마음심(心)자가 있는데  가만히 뜻을 음미해보면
미움, 증오, 분노, 탐욕 등  이런 온갖 것들이 싹틀 때마다 마음속에 있는 칼로 잘라버리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이렇듯 인내는 아픔을 동반하지만 그 모든 것들이 德으로서 자기도야가 되는 길이니  참을 忍을 새기고 살 일입니다.
도자기가 기품 있고 멋있게 생겼군요.    좋은 글 음미하면서 머물고 갑니다.

댓글 : 0
이전글 그리움의 불꽃 2
다음글 심술보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482 얼굴 예찬 문재학 2127 2024-07-12
481 효행길 문재학 2201 2024-07-05
480 정단의 묘기 문재학 2156 2024-06-28
479 그리운 어머니 2 문재학 2284 2024-06-19
478 고석정 문재학 2292 2024-06-13
477 백마 고지 문재학 2525 2024-06-06
476 용문 석굴 문재학 2228 2024-05-30
475 소림사 문재학 2200 2024-05-23
474 사랑의 열기 2 문재학 2257 2024-05-18
473 함께한 세월 문재학 2317 2024-05-09
472 무정 세월 문재학 2544 2024-05-04
471 꽃 박람회 문재학 2565 2024-04-29
470 회한 문재학 2697 2024-04-25
469 옛친구 문재학 3443 2024-04-18
468 봄이 오면 문재학 3466 2024-04-12
467 은퇴자의 세계일주 문재학 3372 2024-04-05
466 봄 풍경 문재학 3686 2024-03-29
465 망향의 노래 문재학 3664 2024-03-22
464 선경. 황룡 문재학 3667 2024-03-15
463 아지랑이 문재학 3543 2024-03-06
462 여생 2 문재학 3421 2024-03-02
461 행복 타령 2 문재학 3393 2024-02-23
460 삿포로의눙꽃 축제 문재학 3362 2024-02-12
459 만월 2 문재학 3628 2024-02-08
458 추억의 향기 문재학 3171 2024-01-29
457 그리운 어머니 문재학 3394 2024-01-24
456 사랑의 항구 문재학 3249 2024-01-24
455 대추 예찬 문재학 3255 2022-09-23
454 풀벌레 울음소리 문재학 3130 2022-09-17
453 태풍 2 문재학 2969 2022-09-08
452 허전한 고향 문재학 3191 2022-09-08
451 옛 임 2 문재학 3064 2022-09-02
450 카카오 톡 문재학 2989 2022-08-26
449 행복 타령 문재학 3084 2022-08-19
448 우중의 술 문재학 3139 2022-08-12
447 매미소리 문재학 3077 2022-08-02
446 애수의 바닷가 문재학 3088 2022-07-29
445 달빛 강 문재학 3270 2022-07-21
444 임의 향기 문재학 3063 2022-07-15
443 코골이 문재학 3256 2022-07-09
442 인생무상 문재학 2966 2022-06-30
441 지금. 이 시간 문재학 3182 2022-06-24
440 옛 연인 문재학 3050 2022-06-17
439 병마 문재학 2907 2022-06-10
438 삭제된 게시물 입니다. 문재학 0 2022-06-10
437 삭제된 게시물 입니다. 문재학 0 2022-06-10
436 백내장 [1] 문재학 3081 2022-06-03
435 다도해 풍광 문재학 2872 2022-05-27
434 오월의 훈풍 [1] 문재학 3149 2022-05-12
433 자유글마당 하늘궁 삶 명상 이창원(법성) 3162 2022-05-11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