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룻 이정님 시인의 작품읽기

이룻 이정님 시인
21세기를 대비한 문자정책
작성자: 이정님 조회: 1464 등록일: 2015-08-28
진태하 이사장이 한글과 한자의 병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지난 7월 21일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진태하(79) 이사장으로부터 그의 사무실(서울 종로구 필운대로10길)에서 한글과 한자의 혼용사용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국어학을 전공하셨다고 들었는데요, 국어를 전공하시면서 한자 교육(漢字敎育)을 주장한다는 게 언뜻 모순돼 보이기도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대학에서는 국어학을 전공했고 국립대만사범대학에서는 고려 시대의 언어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한국국어교육학회를 창립하여 우리나라 국어교육에도 봉사하였습니다. 그런데 국어를 연구해보니 한자를 모르고는 국어를 깊이 연구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국어를 더욱 깊이 연구하고 국어의 정상화를 위하여 한자 교육을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 현대사회에서는 언어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왜 언어가 그토록 중요한가요?
“지구 상의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의 종류는 사어(死語)가 된 언어까지 합치면 3,000종이나 되지만, 인류가 창안한 문자의 종류는 약 200종이 된다고 합니다. 언어는 한마디로 사고의 표현입니다. 뭇 동물 중에 인간만이 사고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지요. 인간은 사고에 그치지 않고 음성을 매개체로, 자기 생각과 느낌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삼았습니다. 그런 언어가 있기에 인간이 더 인간다워지고, 나아가 만물을 영장이 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진태하(왼쪽) 이사장이 한글 한자 병기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자료: 진태하 이사장 제공)

- 21세기에는, 그것도 초등학생 때부터 한자 교육을 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추진이 되셨나요?
“약 20년 동안 대정부 운동을 추진하여 온 결과 지난해 9월 24일 정부에서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교과서에 기초한자 500자 정도를 병기하여 교육하겠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그동안 한자 교육을 주장하는 천만인 서명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신 400여만 명의 동지들 덕분입니다.”


- 어째서 한글과 한자를 함께 쓰는 교육이 우리나라 선진화의 지름길인지 설명을 해주십시오.
“지금 우리나라 사람의 대부분이 국어와 나라글자 즉 국자(國字)에 대한 개념 자체가 잘못 인식되어 있습니다. 한글로 쓸 수 있는 말만이 우리말로 생각하는 것이 잘못입니다. 한자도 엄연히 국자입니다. 우리말 어휘의 70% 이상이 한자어로 되어 있고, 이 한자 어휘의 90% 이상이 두 가지 이상, 많은 것은 20여 개의 동음이어(同音異語)로 되어 있어서, 한자로 쓰지 않으면 도저히 의미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사기’를 한자어로 구별하면 ‘士氣, 史記, 沙器, 社旗, 詐欺, 邪氣’ 등이 있는데, 한글로 ‘여기에 사기가 있다’고 할 때 무슨 뜻인지 알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 세종대왕이 창제한 우리글이 쉽고도 과학적인 글이라고 세계에서도 알아주고 있지 않나요?
“그렇습니다. 다른 문자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 ‘한글’의 창제 역사는 짧지만, 처음부터 표음문자 중에서도 가장 과학적인 음소문자로 만들어진 것은 특기할 일이며, 매우 조직적이며 배우기 쉬운 자랑스러운 글자입니다. 그러나 우리말은 본래부터 우리의 고유어와 한자어가 어우러져 쓰이는 특수한 구조로 된 언어이기 때문에 뜻글자와 소리글자를 함께 병용하는 게 더욱 완전하겠지요. 세종대왕 당시의 한글 문헌을 일반인들은 잘 해독할 수 없는 게 사실이 아닙니까? 그것은 당시의 음운이 몇백 년 사이에 크게 변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한글은 세종대왕의 본래 뜻대로 한자와 더불어 사용함으로써 더욱 빛을 발하게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한글과 한자는 대립적인 문자가 아니라, 서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문자로서 새의 두 날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지금도 ‘한글+한자’ 함께 사용하자는 추진운동을 범국민운동으로 하고 계십니까?
“2009년 교육평가원의 조사에서 학부모 89.1%, 교사 77.3%가 한자 교육에 찬성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 교육부 정책연구 자료에 의하면 초‧중‧고 교사 77.5%와 학부모 83%가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를 찬성하였습니다. 한자는 사고를 요구하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교육을 하면 대뇌를 발달시키어 모든 학과의 학습능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 반드시 다른 과목도 잘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한자를 잘하는 학생은 일반적으로 다른 과목도 우수한 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전국 대학의 장서(藏書)가 90% 이상이 국한문 혼용으로 되어 있는데, 오늘날 대학생들이 읽지 못하여 도서관의 책들이 거의 사장(死藏)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잘못된 문자정책 때문입니다. 이런 책임은 잘못된 교육정책이 져야 합니다. 우리는 희망을 품고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계속 이 운동을 계속할 것입니다. 경제위기는 전 국민의 합심으로 재기할 수 있지만, 문화위기는 불씨가 꺼지면 절대로 재기가 불가능합니다.”

진태하 이사장은 한글과 한자의 혼용만이 의사전달을 분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한글과 한자 병기(倂用) 운동은 지속해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버넷뉴스 이정님 기자 leeruth1@silvernetnews.com

댓글 : 0
이전글 식을 줄 모르는 일에 대한 열정
다음글 2015 14th Mission School Alumni Choir Festival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33 소설 눈부신 방황 이정님 1036 2019-12-07
132 소설 눈부신 방황 이정님 1003 2019-12-07
131 사진방 워낭소리 봉화마을 찾아서 이정님 1089 2019-12-05
130 쉽게 쉽게 이정님 1099 2019-12-05
129 소설 눈부신 방황-(1 일탈) 이정님 1108 2019-12-05
128 영월에서 온 편지 이정님 1453 2015-08-30
127 잘려진 허리로 춤을 이정님 1434 2015-08-30
126 인생처럼 이정님 1400 2015-08-30
125 기사 꽃보다 더 아름다운 여인 이정님 1421 2015-08-28
124 기사 너무 바빠서 늙을 새도 없네 이정님 1492 2015-08-28
123 기사 94세의 박물관 해설사 이정님 1491 2015-08-28
122 기사 통일된 베트남을 찾아서 이정님 1490 2015-08-28
121 기사 끝물 가을햇살을 안고 용문사로 이정님 1433 2015-08-28
120 기사 나이는 잊고 지나는게 좋아요 이정님 1448 2015-08-28
119 기사 클래식 음악 카페지기 이정님 1469 2015-08-28
118 기사 최저임금 인상을 찬성한다 이정님 1451 2015-08-28
117 기사 바로 내가 멋진 사나이 이정님 1398 2015-08-28
116 기사 울림의 여왕 장충렬 낭송가 이정님 1412 2015-08-28
115 기사 식을 줄 모르는 일에 대한 열정 이정님 1488 2015-08-28
기사 21세기를 대비한 문자정책 이정님 1465 2015-08-28
113 기사 2015 14th Mission School Alumni Choir Fe... 이정님 1648 2015-08-28
112 기사 이 시대의 양심 김상원 전 대법관-2015 이정님 1420 2015-08-28
111 비망록 아이러브스타 홈페이지 / 문학방송 문인글방 / 문학방송 문인서... 이정님 1434 2015-08-28
110 자유게시판 나를 바꾼 인생의 한 사건 이정님 1481 2015-08-28
109 자유게시판 메디슨카운티의다리 영화를 보고 이정님 1389 2015-08-28
108 영상작품 이별 같은 그림 이정님 1500 2015-08-27
107 새벽 비 이정님 1407 2015-08-22
106 준비하는 것 이정님 1360 2015-08-22
105 커피 물 사랑 이정님 1381 2015-08-22
104 장미비 속에서 이정님 1418 2015-08-22
103 사진방 이룻의 에집트 여행 이정님 1414 2015-08-21
102 영상작품 문화 산책- 장충렬편 이정님 1396 2015-08-21
101 영상작품 문화산책-이유진편 이정님 1323 2015-08-21
100 수성천 모래 이정님 1401 2015-08-21
99 실 향 이정님 1332 2015-08-14
98 자유게시판 식을 줄 모르는 일에 대햔 열정 이정님 1401 2015-07-21
97 페허의 폼페이 이정님 1419 2015-07-21
96 영상작품 이국화 시인님 인터뷰 이정님 1336 2015-05-17
95 시비 이정님 사이버 시비(詩碑) '잃어버렸습니다' 이정님 1449 2015-05-09
94 영상작품 대한민국 문인 대표작품 / 이정님 시인 詩 <하늘과 바람과 별을... 이정님 1312 2015-05-09
93 영상작품 대한민국 문인 대표작품 / 이정님 시인 詩 <강물> 이정님 1358 2015-05-09
92 영상작품 대한민국 문인 대표작품 / 이정님 시인 詩 <갈망> 이정님 1315 2015-05-09
91 영상작품 "나는 대한민국의 문인이다!" 이정님 시인 이정님 1378 2015-05-09
90 영상작품 문화 산책-이정님 편 이정님 1435 2015-05-02
89 영상작품 문화 산책-정연진 편 이정님 1394 2015-05-02
88 자유게시판 정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나의 소견 이정님 1376 2015-05-02
87 자유게시판 실버에게 다음 칸은 없다 오늘을 잡자 이정님 1467 2015-05-02
86 비망록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라는 영화를 보고 이정님 1465 2015-05-02
85 비망록 나를 바꾼 인생의 한 사건 이정님 1379 2015-05-02
84 비망록 너무 바빠서 늙을 새도 없네! 이정님 1328 2015-05-02
1 | 2 | 3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