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시조의 대화체
이처럼 어른들을 존경하는 것은 가장 잘 하신 분이 예수님이시고 이 분에 대한 경어가 일찍부터 성경 본문에서 찾아진다. 예수님은 비유가 아니면 말씀 아니 하실 정도로 이 비유를 존중하여 대화체로 우리들과의 만남을 이루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경이로운 일로 본인의 저서 『물의 신학과 물의 시학』에서 연구한 바 있다.
우리들이 쓰는 말의 대화체 형식과 우리의 오랜 시가들에서 발견되는 대화체는 바로 가장 오래되었다는 황조가에서 유리왕이 그의 계비 치희가 그의 곁을 떠나자 지은 시에서 그대로 들어난다. 그만큼 우리들은 황진이 시조나 김소월 시의 아름다운 시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그 다음으로 한국인은 일찍부터 어른들을 공경하는 문화가 발달하면서 시조에서도 그 특징이 그대로 자연발생으로 우리의 시조에 녹아나 그대로 쓰여 진 것뿐이다. 다른 사람 특히 어르신들을 존경하는 리듬은 백제의 근초고왕을 ‘어라하’라 불렀으며 ‘어라’는 그대로 히브리어에서 왕이나 신을 말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어라하’의 ‘하’는 우리의 이조시대 건국을 기념하는 의미로 지어진 「용비어천가」 125장에서 ‘님금하’로 시작하는 증명이 뒷받침한다. 이들의 증명은 바로 우리의 역사가 5천년에서 드러나는 바이다.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한국의 역사 속에서 자생된 하나님의 축복 리듬이다.
1. 시조의 대화체
1) 대화체
(1). 물아일체의 대화체
시조는 시절가 즉 시절의 이야기다. 이야기는 대화체다. 시조가 자연 발생적이라 함은 시절가 즉 계절의 특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자연의 순응에서 오는 순환성을 삶의 기본으로 하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계절적 감각이 뚜렷하기에 1년 열두 달에 대한 것을 때에 따라 시로서 승화시키게 하는 자연발생적인 대화체를 시조로 나타낸다. 이와 관련한 12구는 12계절의 상징성이 된다. 우선 초·중장의 대립의 리듬과 일 년을 4계절로 한 초장의 경우 봄·여름·가을·겨울의 리듬이 1 · 2 · 3 · 4구에 해당한다. 1 · 2 · 3 · 4구를 사계와 시조의 음악성과 관련시킬 수 있는 이유는 시조의 각 구에 대한 설명이 있기 때문이다.
초장의 1구는 뭉게구름이 피어오르듯 붕 뜨는 봄의 이야기이고 2구는 한 과정을 뛰어 넘으면서 제멋대로 연장되는 여름의 신화와 같은 이야기며 3구는 가을의 신화와 같이 싸늘하고 외로운 이야기며 4구는 비극의 아이러니인 적어도 겉으로 보기에는 영원히 살 것을 꿈꾸는 희미한 불빛의 겨울이야기이다. 이러한 이야기의 비유를 기본으로 한 대화체는 시적의미 확대로 첫째 계절적인 순응의 동화로 규정지을 수 있다.
하늘에 떠 있는 달을 보고 슬플 때는 우는 달로, 즐거울 때는 웃는 달로 쳐다보게 된다. 이것은 자연과 나와의 동일성이 되는 것이 되어 물아일체가 된다. 따라서 자연과 나는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금강이 무엇이뇨 돌이요 물이로다
돌이요 물일러니 안개요 구름일러라
안개요 구름이어니 있고 없고 하더라
- 이은상, 「금강이 무엇이뇨」
어허 저거 물이 끓는다 구름이 마구 탄다
둥근 원구가 검붉은 불덩이다
수평선 한 지점위로 머문 듯이 접어든다
- 이태극, 「서해상의 낙조」
어떻게 태어났을까? 막내딸 같은 이놈
빙하 굽이돌아 영겁의 돌문 깨물고
연한 부리를 들어 해를 손짓하다니
- 장순하, 「앵두나무논」
어떻게 태어났을까? 막내딸 같은 이놈
빙하 굽이돌아 영겁의 돌문 깨물고
연한 부리를 들어 해를 손짓하다니
- 장순하, 「앵두나무논」
나비야 청산 가자 범나뷔 너도 가쟈
가다가 져무러든 데 드러 자고 가자
곳에서 푸대접하거든 닢헤서나 믁고가자
무명
청산은 엇데야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엇데야 주야에 긋지 아니?고
우리도 그치지 마라 만고상청호리라
- 이황
말 업슨 청산이오 태 업슨 유수 로다
갑 업슨 청풍이오 임믁 업슨 명월이로다
이 듕에 일 업는 몸이 분별 업시 늙그리라.
- 성휘
위의 시조들은 물아일체의 동일성을 전제로 한 대화체로 되어 있다. 시조작품이 구전되었다고 볼 때 그 작품 속에는 구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어떤 원리가 있었을 것이다. 그것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대상이 없다 하더라도 자연을 통해 의사전달이 가능하다는, 즉 마음으로 자연에게 호소하고 그 자연은 그것을 들어주고 대답해 주는 상태의 지경까지 몰입되는 자연과의 친숙성에 있다. 사실 시조작품은 거의 모두 이 자연과의 동일성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고대시가 뿐만 아니라 현대 자유시에 이르기까지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작품들이 대화체이다. 한국의 시조시인들의 작품들에서도 이러한 대화체 형식이 잘 나타나고 있다. 신라시대 사람들은 누구나 시인이 되어 시를 읊는다 하였고 우리의 생활습관은 서로 어울려 밤새껏 시냇가에서 시를 읊었다. 이러한 우리의 같이 어울려 즐기는 생활은 오늘날에서 그대로 비추어 전 세계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