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시인의 서정 모더니즘의 바람시학
- 조성호 시집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 부쳐 -
이 영 지
문학박사 · 철학박사 · 시인
1. 성경의 2회 리듬을 따르는 바람시어
조성호 시인이 두 번째 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를 상재하게 되었다. 창조문학사로 2002년에 등단하고 첫 시집 『침묵을 노래하는 악기』(2010)에 이어 10년 만에 다시 상재하게 된 두 번째 시집이다. 10년마다의 간격 시집출간이다. 그 만큼 조성호 시인은 시에 대한 충분한 숙고를 거쳐 그의 시의 고차원적 메시지를 전달하려 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 출발은 첫 번째 시집과 더불어 조성호 목사시인의 제2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의 제목 모두가 시가 향유하는 특유의 성역인 반복리듬으로 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바로 시의 특권, 은유가 지닌 무한한 가치의 암시성을 제 1 시집 제목『침묵을 노래하는 악기』에서 ‘침묵’ 관념어와 ‘악기’ 사물어로 한데 이어 제 2시집 제목『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서도 ‘바람’ 사물어와 ‘마음’ 관념어 반복리듬에 있어서이다.
이 암시성은 제 2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를 제1부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 제2부 ‘밤비 내리는 이유’ 제3부 ‘방황하는 이여’ 제4부 ‘그는 어디로 갔을까’ 제5부 ‘열두 달을 걸으며’로 나누는데 이와 비교되는 제 1시집 제1부 ‘비가 되어 내리고 싶다’ 제2부 ‘그의 하늘에 떠 있고 싶다’ 제3부 ‘그날이 언제일까요’ 제4부 ‘바람처럼 사랑하여라’ 제5부 ‘그는 지금 어디로 갔을까’의 각 부 설정에서 반복 리듬이 발견된다. 제 1시집의 제5부 ‘그는 지금 어디로 갔을까’는 제 2시집 제4부 ‘그는 어디로 갔을까’인데 제 1시집의 “지금”이라는 시어가 제 2시집에서 없을 뿐 동일 반복리듬이다.
조성호 목사 시인은 제 2시집 제목『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는 제1부 첫 번째 작품「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로 바람을 그의 시의 주제 반복리듬으로 내세운다. 바람은 신학 메시지 하나님의 신이 수면위에 운행하는 때의 신 루아흐 וּר(루아흐··영, sprit, 창세기 1장 2절) 이다. 바람에 근거한 하나님의 일을 사역하는 목사시인의 ‘바람’이다.
‘바람’시어는 제2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서 20회 사용되었다.
다음은 ‘바람’ 시어회수이다.
바람에게도 마음이 있다 (10) 잡초(雜草)의 쓸모(2)
하늘사다리(1) 소사나무(1) 노량진에서(1) 열매는(1) 비바람(1)
겨울 사랑(1) 낙엽(1) 예배당 풍경(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