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행복한 별아 모이라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2242 등록일: 2021-08-16
첨부파일: 행복한별아모이라.hwp(62.5KB)Download: 0

 

 

 

 

 

 

행복한 별아 모이라

이영지문화예술인 시집

 

 

 

 

 

 

 

 

 

 

시인의 말

 

36구의 향기 시조시학

1. 향기별

이 시집은 별이 시집 전체에 중요시어로 나오는 시집입니다. 이 별 시어는 제 시의 주제인 향기로 대표되는 시어입니다. 저는 향기 나는 삶이고 싶어서 이 시집을 썼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마무리 해 놓은 시들입니다. 구체적인 시어를 *별로 표시하면서 명실 상고 히 한국시조의 시조창 연원에 접근되어 있습니다.

향기 나는 삶의 구체적인 방법은 그림자의 삶을 사는 일입니다. 스스로 향기 나는 삶이 아닙니다. 누구의 삶을 본받아 그 그림자의 향기를 내는 일입니다. 그림자라는 말은 다른 말로 바꾸어 이미지시라는 말이고 우리말로는 배짜는 삶입니다. 이 그림자를 성경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 곧 그림자의 인생이라 합니다. 누구나 향기 나는 삶을 살고 싶지만 스스로 향기 낸다는 말이 얼마나 황당한지요! 어느 누구도 스스로는 향기를 발할 수 없습니다. 다만 향기 나는 분의 향기그림자를 따르는 일입니다. 그림자의 삶을 사는 일입니다.

저는 항상 시조작품의 주제로 소중히 간직하는 우리 고유개념의 향기가 더욱 빛나는 시조작품을 쓰고 싶어 합니다. 시조작품은 사실 달의 원리를 근거로 합니다. 한 달에 한 번 씩 순환하는 이 달은 그냥 달이 아니고 달의 그림자를 따르는 일 향기를 내는 일입니다.

그림자라는 말은 향기의 이미지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절대자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 아름다운 모습인 동시에 향기 이미지 in the image of의 정통의 문학 향기로 저는 시조작품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베짜는 일입니다., 성경은 이를 베잘렘으로 표현합니다.

소중한 시조작품 형태는 신라시대 36명의 향가鄕歌까지 이어집니다. 강희자전이 말하는 36명이 지닌 종결어미를 가지는 오늘날 시조시학이 가지는 36를 말합니다.

최행귀의 역가서문 기록이 있습니다.

 

시구강사 마탁어오언칠자詩構唐辭 磨琢於五言七字

가배향어 절차어삼구육명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절차切磋나 마탁磨琢은 퇴고에 퇴고를 거듭하여 작품이 탄생되는 경위를 말하는 것이고 우리 조상들은 시시 때대로 우러나오는 서정의 감성을 잘 다음어서 낸 이른바 36명이라 하였고 오늘날의 시조작품이 가지는 특징 36구를 말합니다. 36명 기록 강희자전에 구항 왕 편조에 언어장구야言語章句也라 하였습니다.

우리의 리듬은 전편에서 초장과 중장과 종장 모두 3 4 3 4/ 3 4 3 4/ 3 5 4 3의 리듬을 근거로 합니다. 이 가치는 참으로 귀한 보고입니다. 같은 배열이되 의미의 중첩 또는 반대 · 그리고 상응이 되는 바 달이 차고 기우는 이동성의 리듬 달의 원리로 된 초 · 중장 원리로 합니다.

 

2. 종장의 묘미

 

시조시학의 절대법칙인 시조 종장 첫구를 3자가 있습니다. 종장 첫구의 3자 리듬을 절대화는 제목을 대변하는 세 마디 말로서 잘 드러내는데 있습니다. 그러나 옛 시조가 보여주는 어즈버 · 아희야와는 달리 현대 시에서도 이육사청포도시의 아이야’ · 이상 시 오감도 9호의 나는참등의 매력적 기법에 맞먹은 시조작품의 종장 첫구를 3자로 하는 일입니다.

시조작품의 종장 3자 리듬은 가장 소중한 감탄기법입니다. 초장 · 중장이 종장이 모두 15자이면서 의미로서 그 끝을 어떻게 마감하기 위한 절묘한 3자의 감탄기법입니다. 아주 오랜 우리나라 정통기법입니다. 이를 잘 인지하고 종장 첫구에서 3자의 묘미를 드러내는 감탄 기법입니다.

한 사람의 생애는 처음과 끝이 있음과 같이 인생의 유한성을 시조종장의 끝마무리로 한 기법은 시조 이름이 가지는 시조時調 곧 일상의 그때그때 일어나는 마음의 정서를 잘 지키면서도 종장에서 임의 마무리하는 책임 있는 종장이 시조시인에게는 있습니다.

 

3. 시조작품의 종류

 

시조작품에는 단시조 · 연시조 · 사설시조 · 양장시조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어떤 기법을 취하느냐는 자유의지입니다. 이 모든 시조의 공통분모는 3글자와

댓글 : 0
이전글 물은 생명이다
다음글 유아린의 꿈꾸라시집 평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417 시조 이랑 사랑이랑행복이랑시집발간 이영지 0 5902 2015-05-10
416 평론 말할게 있어요 이브(20150426) 이영지 李英芝 이영지 0 5812 2015-04-26
415 평론 시조의 서정성 -현대시조에 나타난 자연을 중심으로 이영지 이영지 0 6292 2015-04-19
414 평론 목련 순례자 이영지 0 5826 2015-04-08
413 수필 잔디방석 -스트레스 극복의 비결 이영지 0 6296 2015-03-19
412 평론 하늘사다리 이영지 0 5981 2015-03-18
411 평론 여자가 있는곳 이영지 0 6273 2015-03-15
410 평론 천하보다 귀한 나 이영지 이영지 0 6193 2015-03-08
409 평론 바보향기 이영지 0 5942 2015-03-04
408 평론 어느때까지이니까 이영지 0 4695 2015-02-08
407 평론 푸른양의 해 이영지 0 6677 2015-01-06
406 시조 달콤한 그리움 이영지 0 6352 2014-12-28
405 평론 배추김치와 이영지 0 7880 2014-11-23
404 시조 복이 있는 사람에게 오는 너는 행복한 사람 이영지 0 7803 2014-11-15
403 평론 사랑하는 사람 이영지 0 8480 2014-11-1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