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조성호 시의 서정 모더니즘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3994 등록일: 2019-11-17
첨부파일: 조성호 시의 서정모더니즘.hwp(288.0KB)Download: 0

해설

 

 

바람의 서정 모더니즘시학

- 조성호 시집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 부쳐 -

 

 

 

이 영 지

문학박사 · 철학박사 · 시인

 

 

1. 성경의 2회 리듬을 따르는 바람시어

조성호 시인이 두 번째 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를 상재하게 되었다. 창조문학사로 2002년에 등단하고 첫 시집 침묵을 노래하는 악기(2010)에 이어 9년 만에 다시 상재하게 된 두 번째 시집이다. 10년마다의 간격 시집출간이다. 그 만큼 조성호 시인은 시에 대한 충분한 숙고를 거쳐 이루어 내는 데에 중요한 의미가 가치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 중요한 조성호 목사시인의 제 2 시집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의 가치는 발간한 두 시집의 제목 모두가 시가 향유하는 특유의 성역, 은유를 시의 유일한 특징 반복리듬으로 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바로 시의 특권, 은유가 지닌 무한한 가치의 암시성을 제 1 시집 제목 침묵을 노래하는 악기에서 침묵관념어와 악기사물어로 한데 이어 제 2시집 제목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서도 바람사물어와 마음관념어 형식을 지니는 반복리듬에 있어서이다.

이 암시성은 시집 내부 항목에 있어서도 제 2시집바람에도 마음이 있다1바람에도 마음이 있다’ 2밤비 내리는 이유’ 3방황하는 이여’ 4그는 어디로 갔을까’ 5열두 달을 걸으며로 짜고 있다. 이와 비교되는 제 1시집 1비가 되어 내리고 싶다’ 2그의 하늘에 떠 있고 싶다’ 3그날이 언제일까요’ 4바람처럼 사랑하여라’ 5그는 지금 어디로 갔을까인데, 각 부 설정에서도 반복 리듬이 발견된다. 1시집의 5그는 지금 어디로 갔을까를 제 2시집 4그는 어디로 갔을까로 반복리듬을 탄다. 1시집의 지금이라는 시어가 제 2시집에서 없을 뿐 동일 반복리듬이다.

조성호 목사 시인은 제 2시집 제목바람에도 마음이 있다1부 첫 번째 작품바람에도 마음이 있다로 다시 내세운다. 바람은 신학 메시지 하나님의 신이 수면위에 운행하는 때의 신 루아흐 󰖙וּר(루아흐··, sprit, 창세기 12) 이다. 바람에 근거한다. 그만큼 하나님의 신을 사역하는 목사시인의 바람이다.

바람시어는 제 2시집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에서 19회 사용되었다. 다음은 이 시집 전체에서 사용된 시어회수이다.

 

바람에게도 마음이 있다 (10) 잡초(雜草)의 쓸모바람(2)

하늘 사다리(1) 소사나무(1) 노량진에서(1) 열매는 비바람(1)

거을 사랑(1) 낙엽(1) 예배당 풍경(1)

 

이 시집 전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시어 바람이다. 시 전체 이미지를 만든다. 따라서 조성호목사 시인이 푯대로 내세운 바람은 시적인 은유 메시지이다.

다음은 가장 많은 바람시어를 사용한 시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이다.

 

그냥 지나가는 바람이 아니다

흔드는 바람은 한마디하고 싶은 것이다

산비탈에서 굴러온 바람은

묵혀둔 숲의 노래를 부르고 싶은 것이다

칼바람은 길을 잃고 아픈 것이다

큰바람은 제 몸 뜯어 태우고 싶은 것이다

실바람은 마르고 닳도록 쓰다듬고 싶은 것이다

호수에 파랑을 일으킨 바람은

눈물 적시고 다녀간 자리다

바람 머무는 자리가

내 몸 뿐이랴

언제나 머물고 싶은 자리에 바람이 있다

바람에게 말 걸고

커피 사주고 싶다

바람에도 마음이 있다

 

시인의 바람은 산비탈에서 굴러온 바람 · 길을 잃고 아픈 칼바람 · 제 몸 뜯어 태우고 싶은 큰바람. 마르고 닳도록 쓰다듬고 싶은 실바람 · 눈물적시고 지나간 파랑을 일으킨 호수 바람 · 내 몸에 머무는 바람이다. 6번의 바람이 말을 하고 싶어 하고 이에 시의 화자가 커피를 사주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이 묘사는 말을 하고 싶어 하는 의인화법이 되면서 생명체를 가진 바람이 된다. 6회의 바람은 이 세상의 모든 만물을 대표하는 묘사 회수이다. 그 중에서도 이 6회가 지니는 사람의 의미 혹은 물의 상징어로서의 사람 모두를 말한다. 시의 화자는 이들에게 커피를 사주는 시인의 되고 싶어 한다. 여기에서 아이러니가 생긴다. 절대자의 사역이다. 사람의 대상이 되는 절대자의 사역은 시인으로서는 불가능하지만 그러나 그 권한을 절대자가 허락을 하시기에 시를 통하여 시인목사로서 사역을 하며 그들 바람의 바람에게 커피를 사주고 싶어 한다. 목사시인으로서의 사역 그것은 커피사주는 일이다. 사역의 한계이지만 대화를 하고 싶어하는 일이다. 상담을 하는 일이다. 바람에는 두 가지 의미가 주어진다. 간절히 바라는 일의 관념어와 바람 자체의 사물어이다. 이러한 시어의 선택의 탁월성은 희망이미지인 마음의 소원이미지 바람과 사물어의 바람이 이중 은유를 지니면서 2회 리듬을 탄다.

시인은 자연 존재 그 귀중한 숨소리를 듣는 그러나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영역을 제시한다. 바로 신을 향해 요청하는 시인 자신의 간절한 바람, 그 바람을 불러오는 바람, 바로 큰 바람의 몫 흔적이 암시된다. 이 절묘한 시인의 묘사는 이 시에서 큰 바람이 그 무한의 영역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한다. 신에게로 바람 소리를 인도하려 한 목사로서의 소명의식이 리듬을 타면서 바람시학의 시인이 된다.

큰 바람과 대별되는 시인의 바닷바람이 있다. 꽃이 되고 나무가 되고 별이 되어 바닷바람 쏘이며 갈대처럼 살고 싶은 바람이 있다.

 

바닷바람 쏘이며

갈대처럼 모여 살고 싶었다

꽃이 되고, 나무가 되고, 별이 되어

 

잎이 작고 줄기가 작다고

고목나무 취급한 철없는 세상은

여윈 햇빛 가로 막고

오글오글 꼬인 라면발처럼 꼬았다

 

철새들 한 점 허무를 싣고 떠난 뒤

십리포 해안가 담장 밑에

가만히 드러누워

여인의 풀어 헤친 머릿결처럼

웃고 있다

-소사나무

 

시인에게 소원이 있었다는 과거형이 전개되는 바닷바람 쏘이며/ 갈대처럼 모여 살고 싶었다를 시인은 첫 화두로 내 세운다. 묘사한다. 그런데 잎이 작고 줄기가 작다고 고목나무 취급한 철없는 세상은 여윈 햇빛 가로 막고 오글오글 꼬인 라면발처럼 꼬았다. 무너진 자리에 그래도 시인의 바람이 있다. 관념어 바람, 시인의 마음이 노출된다. 절대자의 마음이 있다. 그러기에 이 사이에 거대한 믿음이 있다. 시인을 목사의 영역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조성호 시인의 묘사비법은 정말로 하고 싶은 바람의 역할을 숨기고 있는데서 시작된다.

이 우수성은 곧 시노량진에서살짝 들어나기 시작한다.

.

매미가 떼 지어 곡하는 7

도로변 바람 따라 펄럭이는 깃발이

파도처럼 손짓하지만

언제쯤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노량진 골목마다

11초가 아까운

여유를 포기한 청춘들

지긋지긋한 책 더미를 안고

좀 더 조금만 더 열심히

엄하게 자신을 꾸중하며

댓글 : 0
이전글 그리움의 시학- 유태영 시인의 해산의 고통보다 더한 그리움에 부쳐
다음글 물의 신학과 물의 시학 2019113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492 시조 행복콩시집 이영지 0 2850 2020-12-20
491 평론 그리움의 시학- 유태영 시인의 해산의 고통보다 더한 그리움에 ... 이영지 0 2826 2020-12-06
평론 조성호 시의 서정 모더니즘 이영지 0 3995 2019-11-17
489 평론 물의 신학과 물의 시학 2019113 이영지 0 4691 2019-11-03
488 고향 이영지 이영지 0 4491 2019-09-15
487 평론 한국 시조작품 창작리듬 연구 서문 이영지 0 4479 2019-06-30
486 시조 인터넷에서 선호도 높은 이영지 시조작품들 이영지 0 4268 2019-06-25
485 평론 홍문표 에덴시학 최종 보관 서문 이영지 0 4688 2019-06-25
484 시조 봄 웃음 이영지 이영지 0 4344 2019-06-24
483 평론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이상의 오감도 시제1호의 리듬 이영지 0 0 2019-05-17
482 평론 나라를 다스리는 시조작품 창작리듬 이영지 이영지 0 3458 2019-04-06
481 평론 제 5장 에덴시학 이영지 0 3415 2019-03-29
480 평론 제 3장 에덴시학 이영지 0 3405 2019-03-29
479 평론 에덴시학 2장 이영지 0 3456 2019-03-29
478 평론 홍문표 에덴시학 연구 보관용 -제 1장 이영지 0 3904 2019-03-29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