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바라보게 하시게 하는 이 책은 『홍 문표 에덴시학(詩學) 연구』입니다. 홍 문표 에덴시학 연구 명제 선택은 홍 학자께서 에덴시학을 평생의 시학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홍 문표 어른의 에덴시학은 하나님의 아들 사랑을 지상의 연가로 하여 영원히 사는 법을 눈으로 보여줍니다. 더구나 성경원문 신명기 6장 4절 에덴의 에 곧 ‘눈 ע 에’와 덴의 ‘데 ד 데’를 큰 글자로 합하여 아들을 증거로 한. 지상의 연가 곧 기독교 주기도문이 전해주는 지상의 연가 에덴시학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어로는 어른으로 접근 에덴이 아들이고 아들을 얻은 어른의 가슴 곧 절대자 그 분 사랑을 평생 전하는 홍 학자의 에덴시학 연구입니다. 홍 시인 고향 백제의 본래 우리말 이름은 에덴의 다른 이름 ‘얻은’ ‘언덕’입니다. 감히 고조선의 문화가 세계문화의 시초가 되는 어른 · 부여 · 에덴 아들을 얻은 절대자 어른 그 분 사랑 전하기 홍 문표 학자의 에덴시학이 유일하게 살아 숨 쉬는 행복지수지표 연구입니다. 이런 호사로 하여 본 연구자에게는 홍 학자에게서의 일평생 늘 푸른 · 변함없는 에덴시학 행복지표에 저도 행복하여지고 싶은 열정에 이 책이 주어졌습니다. 홍 문표 시인의 영역인 모더니즘 계열 서정 시인이 지닌 특징을 찾자 입니다.
연구방법의 접근은 형식이 달라지면 내용이 달라진다는 예술성의 강조입니다. 본 연구는 시적인 삶이 곧 에덴시학이 되는 홍 문표 에덴시학 연구에 요구되는 하이퍼성을 연구방법으로 합니다. 홍 시인의 시 언어예술성으로 들어나는 모더니즘 서정성 깊이는 신에게 감사하는 시 언어입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심에서 마음껏 자유로울 수 있는 시의 숨 쉼이 무엇인지!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비결 홍 문표 에덴시학 연구입니다.
현대시 쓰기 물결이 도입되면서 얻었던 장점들을 한국고유의 서정성과 조화 이루기가 가능한 시의 진실을 찾는 이 책의 작업입니다. 시어가 지닌 무한의 도전 · 묵시적 · 그리고 계시적 시어들이 그토록 감정을 빼버리고 사물언어만을 주장하는 존재론적 모더니즘 시의 특성에 살아 숨 쉼에 대한 감사! 한결 부드러운 모더니즘 서정시 정의가 되겠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 정답을 얻자는 것은 아닙니다. 어느 것도 정의 내려질 수 없는 인간의 불완전성과 유한함이지만 다만 홍 시인이 지닌 하나님을 믿으면서 가능해졌던 에덴시학 메시지가 무엇이고 이 메시지를 통하여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가입니다. 시 속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은 예술성과 시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보기에 늘 흐르면서도 늘 푸르름을 간직하며 살아 숨 쉬는 비결이 무엇인가를 찾고자 합니다. 리듬과 이미지에서 탈 관념화하려는 모더니즘 시에 서정성이 더하여 얻어지는 모더니즘 서정시가 열린 시학으로서의 가능성 연구입니다. 눈으로 보여주기 시학이 되는 이 연구는 모더니즘 시계열의 서정시인 홍 문표 박사시인 시가 기독교의 참다운 특징이 되는 의미와 형식을 다 찾아보자는 의도도 숨어 있습니다. 동시에 고향을 부여로 하는 홍 문표 시인 모더니즘 계열의 서정 시인의 멋도 찾습니다. ∼ 2019. 5. 30 李英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