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우 시인의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 신 계(3) 혼, 시선, 조화옹 인간계(7) 인간(3): 색시, 신선, 아버지, 어머니 당신, 심장 식물계(2) 초목: 연닙(2) 물질계(51) 자연어: 대지구, 한울(2), 흰구름, 화산, 눈, 대지, 별(3), 달(3), 이슬, 물, 불(5)), 우주(7), 태양(16), 지구, 구멍, 흙, 불구멍(2), 문명어: 천국, 발전소, 서초등, 배 2. 하향적 이미지 신계(1): 혼 인간계(25) 인간: 피난민, 이주민, 불량배, 어린애, 여자, 장사, 부부, 적, 죄인, 어린 것, 사람, 처녀 신쳬: 해골쟁이, 눈, 신체(2), 몸(5), 얼굴, 입술, 목덜미, 송장 동물계(8) 날짐승: 까막까치 지상동물: 오랑이(2), 여호, 사자 벌레: 벌래, 나비 물질계(44) 자연어: 바람(2), 이슬, 비(2, 한울(4), 구(4), 달(4), 우주, 강물, 바다(2), 포포, 태양(3), 지진, 태양계(2), 대륙(5), 구덕이, 빙하 문명어: 칼날, 지하실, 원자탄(2), 쇠발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 신계(9): 혼(7), 정령(2), 인간계(28) 인간: 사람, 처녀, 애기(2), 벌래, 여자(2), 남자, 애인(2), 어러미(3), 어린애기, 소녀, 처녀(20, 당신,주부, 연인, 어린애, 신체: 몸, 가슴, 입술, 얼골, 머리(2), 눈동자 동물계(24) 날짐승: 비둘기, 제비, 꾀꼬리, 참새, 기러기, 학, 톡목조, 새, 지상동물: 병아리, 잣나비, 곰, 송아지, 수꿩, 암꿩 어류: 알,논게, 산게 벌레: 나비(4), 누에, 벌(2) 식물계(9) 초목: 드름이꼿, 나부, 꽃다발, 꽃(3), 풀(1), 풀나무 물질계(56) 자연어: 산(2), 들(2), 태양(6), 물(5), 비, 눈(6), 달(5) 샘물(2), 언덕(2), 한울(3), 구름(3), 안개, 아즈랭이, 강(2), 개울, 무지개, 바다, 구름나라, 지구 문명어: 금괴, 경대 고유어, 견우성, 직녀성 2) 이성유추 인간계(18) 인간: 영웅아, 남매, 귀족, 농부, 동무, 지휘자, 운전수, 자손, 시인, 철학자, 음악가, 나그네, 애기, 철인 신체: 어깨, 보수, 피, 입 동물계(15) 날짐승: 날개(2), 제비(3) 지상동물: 나비(7) 벌레: 반딧불(3) 식물계(3) 초목: 풀, 나뭇가지(2) 물질계(30) 자연어: 태양(7), 등불, 바다, 눈, 바람, 지구(3), 우주, 별(3) 문명어: 깔댁이, 탄금(4), 창문, 소독염, 공장, 목화밭, 플로펠러(3) 3) 경험유추 신계(4): 혼(4) 인간계(65) 인간(39): 기사, 동생, 남편, 노동자, 할미, 주인, 아빠, 엄마, 사람(10), 누이동생, 안해(3), 색씨(3), 장님, 어머니(2), 마누라, 나그네, 남편, 배달부, 식구, 홀아비, 손자, 부인, 신체(26): 입, 입술(3), 젖꼭지(2), 젖, 등, 니마, 눈동자, 손바닥, 혀(3), 눈, 팔(2), 얼굴, 동자, 안, 주먹, 코, 억개, 발, 손목, 피 동물계(39) 날짐승(19): 제비(10, 새(2), 꾀꼬리, 수리개, 기러기, 학, 두루미) 지상동물(5): 새끼, 말, 헤(혀0, 닭, 강아지 어류(1): 고기(2) 벌레(14): 올챙이, 개구리(2), 나비(4), 공충(4), 눈알(개구리) 식물계(43) 열매(3):국화, 딸기(2) 초목(40): 오랑캐꽃, 풀, 코스모스(5), 아리아(20, 해바라기(2), 나무(3), 낙엽(2), 꽃(7), 송림, 닙(2), 수풀, 풀가지(2), 화충, 카나꽃(2), 나발꽃, 송이, 닙, 나무(7), 풀, 풀싹,나무가지, 나뭇잎, 싹(2), 풀(5), 애기(싹), 싹나무 물질계(240) 자연어(210): 향기, 개울, 돌맹이, 대지, 비(3), 물(5), 강(3), 바다(5), 들(2), 산(3), 물방울, 바람(5), 우주(7), 육지, 동산, 한울(7), 아즈랭이(2), 안개, 별(2), 구름(16), 고개, 들(3), 산(4), 흑, 대지, 물(6), 강, 지구(28), 은하 해, 달(4), 별(2), 공기, 눈, 바람, 사화산, 산, 노을(3), 하늘(3), 따, 은하, 구름,(5), 안개, 진눈깨비, 이슬(5), 달(10, 대양계, 천체(2), 태양(44)) 문명어(26): 창석, 싸리문, 지게, 정차장, 실타루, 분, 논두렁, 장독, 입들, 양산, 낙시배, 등불, 안경, 쪽배, 포대기, 배, 창문, 비행기, 좃기, 비석, 집, 중산모, 방한모, 고유어(4): 금강산, 천문대, 태평양, 금강석 황석우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시는 상승적 이미지에 신계(3), 인간계(7), 식물계(2), 물질계(51)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 + 7 + 2 + 51=63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하향적 이미지의 신계(1), 인간계(25), 동물계(8), 물질계(44)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1 + 25 + 8 + 44=78 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에 신계(9), 동물계(24), 식물계(9), 물질계(56)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9 + 24 + 9 + 56=98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에는 인간계(18), 동물계(15), 식물계(3), 물질계(3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18 + 15 + 3 + 30=66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유추는 신계(4), 인간계(65), 동물계(39), 식물계(43), 물질계(24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4 + 65 + 39 + 43 + 240=591 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63개와 하향적 이미지어 78과 유추적 이미지어 755(순수유우 98 + 이성유추 66 +경험유추 591)로 총 명사시어를 926회 사용하였다.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7%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8%,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85%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12%, 이성유추에 7%, 그리고 경험유추에 66%의 관심을 보인다. 일상의 삶이 시나 시조로 드러나는 시인들은 그들의 환경이나 그리고 관심에 따라 시어가 달라진다. 황석우는 자연어 중에서 하늘과 관련된 시어들을 즐겨 사용하면서 남성적 시어와 가족에 관심을 보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