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환 시인의 청마시초(靑馬詩抄/청색지사, 193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 물질계(2) 자연어: 일월성진, 성좌 2. 하향적 이미지 인간계(8) 인간: 두쟁이, 사람, 걸인, 카인, 자, 거지, 선부 신체: 골육 동물계(13) 날짐승: 까마귀(4), 갈매기(2), 날개 지상동물, 즘생(2), 고양이, 몸(박쥐), 독사 벌레: 벌레 식물계(1) 초목: 가시 물질계(22) 자연어: 해, 바람(2), 진토, 구름, 비(5), 하늘(2), 눈, 돌 문명어: 고지, 돈, 폐가, 지붕, 무덤, 등, 포겟트, 배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 인간계(6) 인간: 어머니, 영혼, 색시, 그대(2) 신체: 육신(2) 동물계(4) 날짐승: 갈매기, 새 지상동물: 청마(2) 식물계(17) 열매: 이삭, 보리알 초목: 꽃(8), 나무, 동백꽃, 꽃나무, 수선화(3), 찔레 물질계(20) 자연어: 옥석, 산(2), 별, 구름, 바다(3), 산악, 하늘(3), 뫼, 구름, 달 문명어: 옷자락, 손수건, 지전, 등, 술 2) 이성유추 인간계(3) 인간: 사람(2), 아이 동물계(9) 날짐승: 날개(2),백로, 새, 갈매기, 소리개(2) 지상동물: 병아리, 귀 식물계(6) 열매: 송화가루, 낱(3) 초목: 싹, 주군 물질계(16) 자연어: 산, 대지, 돌맹이(2), 별얘기, 하늘, 산, 이마(바위), 바다 문명어: 북, 깃대, 깃발, 기빨, 기빨, 푯대 3) 경험유추 인간계(31) 인간(18): 소년, 여자, 장정, 사람, 애기(3), 아가, 안해(2), 아버님(4), 어린아이, 가족, 어린새끼, 신부(2), 순이(5), 아가씨, 안해신체(3): 얼굴, 볼, 손바닥 동물계(14) 날짐승(4): 새새끼, 까치, 산새(2) 지상동물(7): 우유 벌레: 개아미, 반디, 가재(2) 식물계(20) 열매(4): 오곡, 올벼, 해콩, 햇수수 초목(16): 복사꽃, 칡, 봉숭아가지, 봉오리, 가지, 꽃, 이파리, 들꽃, 가지움, 호박닢, 할미꽃, 수선화 강낸이대, 호박넝쿨, 꽃 물질계(56) 자연어(43): 산(6), 대지(2), 땅, 하늘(8), 호수, 별, 대기, 바람(6), 바다(3), 이마(산), 안개, 별, 돌, 벽, 이슬, 비(5), 구름, 해, 흙, 들, 바위 문명어(23): 낚시, 손가방, 정차장(2), 시계탑, 금전, 기관차, 화차, 들창, 담장(2), 집, 방, 지붕, 뜰악, 불동이, 조선옥, 콩바타 양모, 기,, 기폭, 등불, 담배 유치환의 시는 김현승의 기독교적 관심이나 정완영의 불교언어를 택하지 않고 자연어를 즐겨 사용하였다. 상승적 이미지의 물질계(2)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전연 신계에는 관심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하향적 이미지의 인간계(8), 동물계(13), 식물계(1), 물질계(22)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8 + 13 + 1 + 22=41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에 인간계(6), 동물계(4), 식물계(17), 물질계(20)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6 + 4 + 17 + 20=47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에는 인간계(3), 동물계(9), 식물계(6), 물질계(16)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 + 9 + 6 + 16=34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이미지는 인간계(31), 동물계(14), 식물계(20), 물질계(66)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1 + 14 + 20 + 66=101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2개와 하향적 이미지어 41개와 유추적 이미지어 237(순수유우 47 + 이성유추 34 + 경험유추 101)로 총 명사시어를 282회 사용하였다. 1880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01%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14%,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86%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19%, 이성유추에 14%, 그리고 경험유추에 43%의 관심을 보인다. 일상의 삶에서 경험유추가 시가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특히 유치환은 순수지향의 시가 강한 이미지를 쓰고 있다. 기독교나 불교에는 관심이 없는 시인이다. 자연을 소재로 하여 그의 삶을 푸르게 조명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