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유치환 시인의 청마시초(靑馬詩抄/청색지사, 193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10059 등록일: 2013-12-08
유치환 시인의 청마시초(靑馬詩抄/청색지사, 193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
물질계(2)
 자연어: 일월성진, 성좌
2. 하향적 이미지
 
인간계(8)
 인간: 두쟁이, 사람, 걸인, 카인, 자, 거지, 선부
 신체: 골육
동물계(13)
 날짐승: 까마귀(4), 갈매기(2), 날개
 지상동물, 즘생(2), 고양이, 몸(박쥐), 독사
 벌레: 벌레
식물계(1)
초목: 가시
물질계(22)
 자연어: 해, 바람(2), 진토, 구름, 비(5), 하늘(2), 눈, 돌
 문명어: 고지, 돈, 폐가, 지붕, 무덤, 등, 포겟트, 배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
인간계(6)
인간: 어머니, 영혼, 색시, 그대(2)
신체: 육신(2)
동물계(4)
날짐승: 갈매기, 새
지상동물: 청마(2)
식물계(17)
열매: 이삭, 보리알
초목: 꽃(8), 나무, 동백꽃, 꽃나무, 수선화(3), 찔레
물질계(20)
자연어: 옥석, 산(2), 별, 구름, 바다(3), 산악, 하늘(3), 뫼, 구름, 달
문명어: 옷자락, 손수건, 지전, 등, 술
2) 이성유추
인간계(3)
 인간: 사람(2), 아이
 
동물계(9)
날짐승: 날개(2),백로, 새, 갈매기, 소리개(2)
지상동물: 병아리, 귀
식물계(6)
열매: 송화가루, 낱(3)
초목: 싹, 주군
물질계(16)
자연어: 산, 대지, 돌맹이(2), 별얘기, 하늘, 산, 이마(바위), 바다
문명어: 북, 깃대, 깃발, 기빨, 기빨, 푯대
 
3) 경험유추
인간계(31)
인간(18): 소년, 여자, 장정, 사람, 애기(3), 아가, 안해(2), 아버님(4), 어린아이, 가족, 어린새끼, 신부(2), 순이(5), 아가씨, 안해신체(3): 얼굴, 볼, 손바닥
동물계(14)
날짐승(4): 새새끼, 까치, 산새(2)
지상동물(7): 우유
벌레: 개아미, 반디, 가재(2)
식물계(20)
열매(4): 오곡, 올벼, 해콩, 햇수수
초목(16): 복사꽃, 칡, 봉숭아가지, 봉오리, 가지, 꽃, 이파리, 들꽃, 가지움, 호박닢, 할미꽃, 수선화 강낸이대, 호박넝쿨, 꽃
물질계(56)
자연어(43): 산(6), 대지(2), 땅, 하늘(8), 호수, 별, 대기, 바람(6), 바다(3), 이마(산), 안개, 별, 돌, 벽, 이슬, 비(5), 구름, 해, 흙, 들, 바위
문명어(23): 낚시, 손가방, 정차장(2), 시계탑, 금전, 기관차, 화차, 들창, 담장(2), 집, 방, 지붕, 뜰악, 불동이, 조선옥, 콩바타 양모, 기,, 기폭, 등불, 담배
유치환의 시는 김현승의 기독교적 관심이나 정완영의 불교언어를 택하지 않고 자연어를 즐겨 사용하였다.  
상승적 이미지의 물질계(2)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전연 신계에는 관심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하향적 이미지의 인간계(8), 동물계(13), 식물계(1), 물질계(22)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8 + 13 + 1 + 22=41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에 인간계(6), 동물계(4), 식물계(17), 물질계(20)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6 + 4 + 17 + 20=47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에는 인간계(3), 동물계(9), 식물계(6), 물질계(16)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 + 9 + 6 + 16=34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이미지는 인간계(31), 동물계(14), 식물계(20), 물질계(66)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1 + 14 + 20 + 66=101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2개와 하향적 이미지어  41개와 유추적 이미지어 237(순수유우 47 + 이성유추 34 + 경험유추 101)로 총 명사시어를 282회 사용하였다. 1880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01%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14%,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86%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19%, 이성유추에 14%, 그리고 경험유추에 43%의 관심을 보인다. 일상의 삶에서 경험유추가 시가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특히 유치환은 순수지향의 시가 강한 이미지를 쓰고 있다. 기독교나 불교에는 관심이 없는 시인이다. 자연을 소재로 하여 그의 삶을 푸르게 조명하고 있다.
댓글 : 0
이전글 - 12월이래도(20131208) 이영지
다음글 우리비비 - 새벽기도 · 2224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342 이때 쯤이면 이영지 0 9163 2013-12-22
341 시조 빨간 12월이 하얀 꽃밤이네요 이영지 0 9926 2013-12-15
340 평론 하나님을 이긴 야곱 이영지 0 10391 2013-12-14
339 평론 노천명 시인의 창변(窓邊/매일신보사, 1945)에서의 시어 이미... 이영지 0 9986 2013-12-12
338 평론 3. 시조는 왜 초 · 중 · 종장으로 나뉘어 져야 하나 이영지 0 9440 2013-12-12
337 평론 2. 왜 한국시조가 우수한가 이영지 0 9555 2013-12-12
336 평론 1. 전 세계에서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시조의 입체리듬 이영지 0 9658 2013-12-12
335 평론 황석우 시인의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에서의 시어 이... 이영지 0 9461 2013-12-09
334 - 12월이래도(20131208) 이영지 이영지 0 9924 2013-12-08
평론 유치환 시인의 청마시초(靑馬詩抄/청색지사, 1939)에서의 시어 이... 이영지 0 10060 2013-12-08
332 시조 우리비비 - 새벽기도 · 2224 이영지 0 10728 2013-12-08
331 시조 요 나의 꿈 비비는 - 새벽기도 · 2225 이영지 0 9810 2013-12-08
330 시조 비비느라 - 새벽기도 · 2226 이영지 0 9727 2013-12-08
329 자유글마당 야곱의 하늘사다리 이영지 0 10199 2013-12-06
328 시조 파르르르 파르르르 쏴르르르 쏘르르-새벽기도 186 이영지 0 9752 2013-12-05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