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 문인서재 / 문학관.com / 문인.com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문인.com
작가별 서재
김성열 시인
김소해 시인
김순녀 소설가
김진수 큰길 작가
김철기 시인
류금선 시인
문재학 시인
민문자 시인
배성근 시인
변영희 소설가
송귀영 시인
안재동 시인
양봉선 아동문학가
오낙율 시인
윤이현 작가
이기호 시인
이영지 시인
이정승 소설가
이룻 이정님 시인
이창원(법성) 시인
정선규 시인
정태운 시인 문학관
채영선 작가
하태수 시인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




▲이효석문학관

 
이영지 시인의 작품읽기

이영지 시인
사랑비비행복시집시평 -이영지 기독교시학
작성자: 이영지 추천: 0건 조회: 8264 등록일: 2013-08-05

 

해설

 

이영지 기독교시학 4

 

 

 

이 영 지

(문학박사 · 철학박사 · 시인 · 시조시인)

 

이영지의 사랑비비행복은 순전히 개인적인 은혜받음에 대한 시집이다. 그리고 친근감의 22숫자로 접근되는 특징을 이이곧 가까운이에게 전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연작시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보다 시어의 연결이 주는 메시지가 강하다.

연작시의 시어 여름((2201 - 이후 1부터로 표시)) 여름, (2) , 비오는(3) 비오는(4) 오는, 꽃잎(5) 꽃잎, 포옹다앙(6) 포옹다앙, 그냐앙(7) 그냐앙, 빗방울(8) 빗방울, 사랑모음(9) 사랑모음, 햇살꽃비비(10) 햇살꽃비비, 해실해실(11) 해실해실, (12) , 오시네(13) 오려, 깃을 털고(14) 깃을 털고, 푸른바람(15) 푸른바람, 폭포비비(16) 비비볼(17) 그리움비비(18) 사랑비비(19) 사뿐비벼(20) 사뿐비비, 한자락(21) 한아름, 꽃덤불(22) 꽃덤불, 꽃피도록(23) 꽃바구니(24 꽃잎, 꽃덤불(25) 꽃나비비(26) 첫비비, 비비느라(27) 비비비(28) 그리움비비, 하늘(29) 하늘(30) 하늘끝(31) 하늘꿈(32) 하늘하늘(33) 하늘물(34) 하늘물새(35) 하늘, 사랑(36) 사랑(37) 사랑(38) 사랑(39) 사랑(40) 사랑, 당신(41) 당신, (42) 옷자락, 은비늘(43) 은비늘, 등을 업어(44) 등을 업어, 나직하게(45) 나직히, 사랑(46) 사랑하며, 꽃밭(47) 꽃다발,(48) 꽃잎, 떨어짐(49) 떨어트려, 한구비(50) 한구비, 봄볕이(51) 봄길을, 파랑하(52) 새파랗다, 하늘(53) 하늘이, 열두폭(54) 열두해, 빛이되어(55) 눈빛만이, 빗소리(56) 비에젖어, 종소리다(57) 종소리다, 앞마당(58) 앞마당, 벗어서(59) 벗어들고(60)이다.

이러한 연작시적 특징은 풍성한 하나님의 은헤에 감읍하는 여름으로 시작하여 물이 비오는 은혜를 입으면서 꽃잎은 씻어지며 포옹다앙 떨어지며 그냐앙 그 분위기를 즐기는 즐거운 마음이 시의 주된 작업이다. 비의 빗방울이 사랑모음이 되어 곧 햇살꽃비비로 변하면서 해실해실웃는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이러한 이영지 목사의 삶은 비에 대하여 비, 오시네로 존칭을 표시하고 사물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오려 다른 깊이에 대하여는 깃을 터는 가벼움에 있다.

따라서 이영지 시인에게는 푸른바람이 있다. 이푸르름의 폭포는 그대로 내리는 폭포같은 은혜로 하여 비비볼 마음이 되어 있다. 시에 늘 있는 그리움비비가 된다. 사랑비비가 된다. 더구나 사뿐비벼 내리는 사뿐비비 내는 한자락은 한아름의 꽃덤불이다. 이 꽃덤불이 꽃피도록 담는 꽃바구니의 꽃잎과 꽃덤불에게는 꽃나비비가 있다.

첫비비의 그 즐거움을 아직도 비비느라 변함이 없다. 비가 비비며 내리는 경이로움을 본 것이다. 아하 그렇구나 이 그리움비비 그 하나만으로 하늘을 지붕삼아 사는 사는 하늘 사람이 되어 있다. 따라서 하늘 끝에 하늘꿈을 걸어두고 늘 이영지 시인은 하늘하늘 거린다. 그것은 하늘물을 먹은 하늘물새가 되어서이다. 그것은 하늘의 사랑을 받은 자의 행복이어서 그렇다. 사랑 그 하나로 사랑 사랑 사랑) 사랑을, 당신을 등가형으로 한다. 이 지극함은 당신의 옷을 입고 사는 생활이다. 목사로서의 삶의 옷자락은 은비늘을 입고 있다. 그러기에 이 은비늘의 등을 업어 나직하게 살아간다.

아주 나직히 사는 사랑은 사랑하며 꽃밭을 만들어 꽃다발을 만든다. 더구나 자신의 꽃잎이 떨어짐으로 하여 그 떨어트려버림의 미학에서 한구비를 지난다.

댓글 : 0
이전글 사랑아 사랑아 25 - 하박국 2:1-4 믿음대로 살아야지요
다음글 사랑이랑행복이랑-시집평- 이영지 기독교시학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등록일
552 평론 이상시학 일어나라 이영지 0 3700 2023-10-10
551 평론 물마임의 시학 이영지 0 3731 2023-10-10
550 잉어이랑 이영지 0 3449 2023-04-27
549 시.시조 나비누이시학 [1] 이영지 0 3892 2022-09-14
548 평론 우리시조문학의 마방진미학 이영지 0 4316 2022-05-15
547 평론 시조의 심리리듬 이영지 이영지 0 4027 2022-04-12
546 평론 시조의 텍스트다움의매력 이영지 이영지 0 3883 2022-04-12
545 공병옥 시집 이영지 0 4089 2021-08-21
544 일곱금촛대위의 행복 이영지 시집 이영지 0 4020 2021-08-21
543 시조 고추잠자리 비링비링돌다가 이영지 0 4304 2021-08-21
542 평론 시조의 대화체 이영지 0 3660 2021-08-21
541 자유글마당 추석선물 이영지 0 4149 2021-08-21
540 자유글마당 전자저서 이영지 0 4298 2021-08-18
539 장미와 앵두 이영지 0 4007 2021-08-18
538 평론 이병용 시에 대한 평 이영지 0 4096 2021-08-18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사이버문학관(문인 개인서재)입니다
사이트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Contact Us ☎(H.P)010-5151-1482 | dsb@hanmail.net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